전북혁신도시 공공기관 이전이 마무리 단계에 들어서고 있지만, 유관기관·연구소가 들어설 전북혁신도시 산학연 클러스터 용지의 미분양 사태가 장기화되고 있다. 전북혁신도시 산학연 클러스터 용지의 절반이 나대지로 방치되면서 중앙정부·자치단체·이전 공공기관 등이 공조해 활성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25일 전북도에 따르면 전북혁신도시 산학연 클러스터는 총 10개 부지 20만 8741㎡로 현재 4개 부지 7만 1535㎡만 분양됐다. 나머지 6개 부지 13만 7205㎡는 미분양 상태다.
그나마 최근 한국국토정보공사 공간정보연구원(이하 LX 공간정보연구원)과 한국식품연구원이 1개 부지(4클러스터·3만 2374㎡ 규모) 분양 의사를 표한 것으로 알려졌다. 4클러스터 가운데 LX 공간정보연구원은 1만 9834㎡, 한국식품연구원은 3만 2374㎡에 대한 분양을 희망하고 있다.
전북도가 전북혁신도시 산학연 클러스터 구축계획상 입주 업종으로 승인한 만큼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두 곳을 대상으로 분양 계약 체결을 검토할 예정이다.
이에 반해 지방행정연수원 인근 산학연 클러스터 5개 부지(3·5·6·7·8클러스터)는 4차례에 걸쳐 분양 공고를 냈지만, 입주를 희망하는 유관기관·연구소는 나타나지 않고 있다. 전북혁신도시 활성화를 위해서는 공공기관의 유관기관·연구소 이전이 필수적이지만, 현재는 답보 상태에 머무르는 것이다.
특히 전북개발공사는 공급 금액을 ㎡당 42만 9833원에서 31만 원, 31만 원에서 30만 원으로 두 차례 인하하고, 3클러스터를 5개로 세분화해 작은 규모로도 매입이 가능하도록 했다. 입주 업종도 농기계·LED 융복합에서 영상·출판, 농생명·지식서비스 등으로 확대했지만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전북개발공사 관계자는 “전북혁신도시로 이전한 공공기관의 유관기관·연구소를 대상으로 수요 조사를 했지만 전북은 물론 다른 시·도에서도 마땅한 수요자를 찾지 못 했다”며 “전북혁신도시 공공기관의 유관기관·연구소가 적을 뿐만 아니라 규모도 영세해 유치가 쉽지 않은 것으로 분석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