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민주 추미애 대표연설에 "호남 언급 없다" 일부 볼멘소리

'경제·민생 살리기' 방점 / "지역주의 타파 위해 자제" / 정치권 안팎 다양한 해석

▲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대표가 6일 오전 국회 본회의에서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마친 뒤 여당 의원들과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대표의 6일 국회 교섭단체 대표 연설을 두고 다양한 해석이 나온다.

 

당초 정치권 일각에서는 새누리당 이정현 대표가 지난 5일 국회 교섭단체 연설에서 호남·새누리 연대를 제안함에 따라 추 대표도 이에 상응하는 언급을 하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있었다.

 

하지만 이날 추 대표는 경제와 민생현안에 방점을 찍었다.

 

이와 관련 정치권 안팎에서는 더민주가 전국 정당화를 위해 호남과 거리를 두는 것 아니냐는 해석과 교섭단체 연설이 대국민을 상대로 하는 만큼 지역을 언급하기는 어려웠을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추 대표는 이날 연설에서 법인세 정상화, 민생경제 살리기 등을 촉구했다. 이어 경제회생과 민생 살리기를 위해 정부는 물론 대기업 동참을 호소하고, 민생경제 ‘영수회담’을 제안했다.

 

추 대표는 “재벌과 대기업 중심 경제에서 서민과 중산층으로 경제 패러다임을 바꿔야 한다”며 “10대 기업 사내 유보금이 550조를 넘었는데, 부족한 세수를 서민과 국민이 채울 여력이 없다”며 법인세 정상화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이어 박 대통령을 향해 ‘비상 민생경제 논의를 위한 긴급 회동’과 ‘가계부채 비상대책위원회’ 구성을 제안했다.

 

추 대표는 이와 함께 청년실업 해소를 위한 ‘청년고용 5% 할당제’ 추진,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계획)의 한반도 배치에 대한 부정적 의견을 내놓았다. 하지만 더민주의 텃밭인 호남에 대한 언급은 한 마디도 없었다.

 

이와 관련 지역 정가를 중심으로 볼멘소리가 나온다. 더민주가 전국 정당화를 위해 텃밭에 등을 돌린 것 아니냐는 것이다. 새누리당 이정현 대표가 보수당 대표로서는 이례적으로 호남과 새누리당 연대를 언급하고, 그간 호남 차별에 대해 사과한 데 비해, 추 대표는 전당대회 이전 전북에서 열린 합동연설회 때는 물론 교섭단체 연설에서조차 이 같은 언급이 없어서다.

 

추 대표의 입장을 이해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교섭단체 대표 연설이 특정지역을 상대로 하는 것이 아니라 전 국민을 상대로 하는 것임을 고려할 때 계파와 지역주의 타파를 위해 의도적으로 발언을 자제했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더민주 중앙당의 한 관계자는 “교섭단체 대표 연설은 대국민 전체 메시지의 성격을 가지기 때문에 본래 지역에 대한 거론을 잘 하지 않는다”면서 “새누리당 같은 경우 서진정책을 내세우기 위해 호남을 거론 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