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전주시에 따르면 지난 7일 ‘에코시티 내 대형마트 입점에 따른 지역파급력 분석 및 상생모델 구축 연구용역’입찰을 마감한 결과, 1개 용역업체만 참여해 유찰됐다.
전주시는 지난달 24일 이 용역 공고를 내고 같은 달 29일 신청서를 마감했다. 용역비는 4500만원이다. 그러나 공고 이후 응찰이 없자 참여 대상업체를 전국으로 확대했고, 신청서 마감결과 서울 2곳의 업체만 신청서를 냈는데 1개 업체만 ‘5년 이내 유사용역 1건 이상 실시’ 조건에 충족했고 나머지 업체는 신청서 보완을 하지 않으면서 최종 유찰 결정됐다.
그러나 용역 입찰이 유찰된데 대해 예산이 너무 적었다는 지적도 나온다. 일반적인 용역비용이 평균 5000만원~8000만원인데 3개월 기간의 용역비용 4500만원은 다른 용역비용보다 적은 금액이라는 것.
전주시는 9일 재무담당부서의 계약심의위원회를 통해 입찰 재공고를 낼지 수의계약으로 추진할지를 결정하게 된다. 그러나 수의계약으로 추진할 경우 에코시티내 대형마트 입점을 원하는 아파트 입주예정자들의 반발을 살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분석이다.
수의계약을 할 경우 대형마트 입점을 원하지 않는 전주시의 입맛대로 용역이 이뤄질 가능성이 있다는 불만이 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다시 재공고를 하기에는 촉박한 에코시티 입주일정 등과 맞물려 있기 때문에 부담스러운 상태다.
전주시 관계자는 “시일은 촉박한데 입찰 업체가 많지 않아 당혹스러운 상황”이라며 “다양한 방법을 모색해 최적의 정책 방향을 찾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