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비붐 세대 지원 정책 미흡"

전북 실태조사…"재취업·시니어창업 소홀" 지적 / "통합 추진체계 절실"…28일 노인일자리 워크숍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 출생)의 본격적인 은퇴 시기가 다가오고 있지만, 이들을 지원하는 정책은 전반적으로 미흡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에 베이비붐 세대에 대한 체계적인 직업 훈련을 통해 재취업을 유도하고, 나아가 2차 베이비붐(1968~1974년 출생)·에코 베이비붐(1979~1985년 출생) 세대까지 포괄한 통합 추진체계를 만들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된다.

 

전북대 사회복지학과 김신열 교수의 ‘전북 베이비부머 정책 수요 조사 및 일자리 정책 방향’에 따르면 전북에 거주하는 베이비부머 714명을 대상으로 정부 지원정책(생계형·공헌형·혼합형)에 대해 평가한 결과, 60% 이상이 미흡하다고 평가했다. 이 가운데 생계형에 속하는 재취업과 시니어창업 정책에 대해 미흡하다고 응답한 비율이 각각 68.2%, 67.9%로 높았다. 공헌형에 해당하는 해외파견도 미흡하다고 평가한 비율이 72.3%에 달했다.

 

이들은 역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베이비붐 세대 정책으로 재취업 및 일자리 제공(71.5%)을 가장 많이 꼽았다. 베이비붐 세대가 일자리에 갈증을 느낀다는 걸 보여주는 수치다. 사회보험의 저소득층 지원 확대(9.8%), 의료보험 혜택 및 보험 범위 확대(8.2%) 등이 뒤를 이었다.

 

또 구직활동을 할 때 중요하게 생각하는 조건은 근로조건 27.7%, 급여 수준 27.3%, 고용안정성 20.5% 등으로 나타났다.

 

김신열 교수는 “우리나라는 직업 훈련 인프라가 부족해 50~56세 중고령자의 직업 훈련 참가율(9.6%)이 덴마크(44.5%), 노르웨이(40.4%), 미국(39.9%)과 비교해 현저히 낮은 실정”이라며 “베이비붐 세대의 기본적인 인적 사항과 전직 경험에 대한 자료를 데이터베이스(DB)로 구축해 지역 인력 시장에서 자유롭게 유입되는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베이비붐 세대의 증가에 대비한 지역 차원의 전담부서 설치, 맞춤형 직업 훈련을 통한 인프라 구축, 정책대상 확대를 통한 복지 사각지대 해소 등이 요구된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해 전북도의회 국주영은 의원은 “베이비붐 세대를 특정하기 보다 2차 베이비붐, 에코 베이비붐 세대까지 염두에 둔 장기적인 베이비붐 추진체계를 만들어야 한다”며 “특히 전북도는 소득 중심의 생계형 일자리 창출, 다양한 희망 근로시간을 기준으로 한 노인 일자리 창출에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북도와 전북노인일자리센터는 28일부터 29일까지 부안 대명리조트 ‘전북 노인 일자리 포럼 및 워크숍’을 진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