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 외곽에 국도대체 우회도로를 건설하고 있는 익산지방국토관리청이 우회도로 진입로 공사를 하면서 예산낭비 논란에 휘말리고 있다.
익산국토지방관리청은 전주 국도대체 우회도로 용진~우아 구간(11.7km)에 왕복 2차선 도로를 건설할 계획이다. 공사기간은 올해부터 2022년까지다.
이 과정에서 전주시 산정동 방면의 진입로 개설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익산청은 국도 26호선인 전진로와 국도대체 우회도로를 잇는 신규 진입로를 33억여원을 들여 개설할 예정이다.
그러나 인근 주민들은 전주문화유산연구원 맞은편 백자삼거리에서 이어지는 원산정길이 있어 대체우회도로가 건설될 경우 적은 예산으로 이를 진입로로 사용할 수 있는데도 얼마 떨어지지 않은 곳에 추가 진입로를 건설하는 것에 대해 납득할 수 없다고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주민 이모씨가 익산청을 상대로 정보공개 청구를 통해 받은 자료에 따르면 기존 원산정길을 진입로로 사용할 경우 공사비 1억3000만원과 보상비 3억5000만원 등 4억8000만원이 소요되지만 신규 진입로를 만들면 공사비 27억7000만원, 보상비는 5억5000만원 등 총 33억2000만원이 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씨는 “백자삼거리에서 150여m 밖에 떨어지지 않은 곳에 진입로를 건설하는 것은 명백한 혈세 낭비”라며 “게다가 새 진입로 건설로 주민 재산권 침해와 환경훼손 등 여러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만큼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익산청 측은 자체 교통심의위원회 심의 결과 현재 전진로의 통행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향후(2040년) 교통량을 고려한다면, 신규 진입로 건설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익산청 관계자는 “교통혼잡을 줄이고 교통량을 분산시키는 국도대체 우회도로 건설의 목적에 맞게 새 진입로를 개설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주민들이 주장하는 도로는 미래에 증가할 교통량을 감당할 수 없어 더 혼잡해질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