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사회복지협의회와 어린이재단전북지역본부와 정의당 전북도당 등이 참여하는 ‘어린이병원비 국가보장을 위한 전북운동본부’(이하 전북운동본부)가 28일 공식 출범하고 활동에 나섰다.
전북운동본부는 이날 전북도의회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지난 30년간 민간 모금을 통해 어린이들의 병원비를 지원해 오던 아동·사회복지 기관 및 단체 등이 어린이병원비 만큼은 더 이상 모금에 의존하지 말고 국가가 책임져 나가야 한다는 마음으로 어린이병원비 국가 보장운동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어린이병원비 부담으로 소득이 감소된 가구는 55%이고, 가계소득이 줄어든 이유의 70%는 어린이 병간호로 퇴사하거나 일용적으로 전환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면서 “이는 아이가 아프면 한 가족 모두가 아프게 되는 비정상적인 상황”이라면서 어린이병원비 국가책임제 도입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어 “연간 0∼15세 어린이병원비 본인부담금은 5152억원으로 국민들이 매월 납부하는 국민건강보험 누적 흑자분 17조 원의 3%에 불과하다”면서 “국민건강보험법을 개정해 국민건강보험에서 의무교육 연령인 0∼15세 아이들의 병원비 본인부담분을 책임져야 한다”며 주장했다.
이들은 “정부도 스스로 발표한 아동권리헌장을 충실히 이행하기 위해 어린이병원비 국가책임에 적극 나서야 한다”며 앞으로 어린이 병원이 국가책임을 위한 국민건강보험법 개정을 요구하는 전북도민 5만 서명운동을 벌여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