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의 이자 부담이 커질 것으로 우려된다. 지난달 은행권의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8개월만에 상승세로 돌아선 가운데, 상대적으로 금리가 높은 저축은행의 대출금리 또한 3개월 연속 상승했기 때문이다.
29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6년 8월 중 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에 따르면 지난달 예금은행의 신규취급 기준 주택담보금리는 연 2.70%로 전월 대비 0.04%포인트 상승했다.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상승한 것은 지난해 12월 이후 처음이다.
당시 3.12%였던 금리는 한국은행 기준금리가 연 1.25%까지 떨어진 영향으로 7월까지 꾸준히 하락해왔다.
하지만, 도내 금융관계자들은 주택담보대출 금리 상승에도 불구하고, 고객들의 부담이 애초 우려만큼 크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한국은행 전북본부의 한 관계자는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소폭 상승하면서 이자 부담이 약간 가중되겠지만, 큰 틀에서 볼때 (이자부담은) 견딜수 있는 수준일 것”이라고 낙관적 전망을 했다. 한편, 지난달 은행에서 주택담보대출을 제외한 다른 가계대출 금리는 대체로 떨어졌다.
집단대출 금리는 2.79%로 0.03%p 내려갔고 예·적금담보대출(2.94%)과 보증대출(2.85%) 금리도 각각 0.06%p, 0.07%p 떨어졌다.
일반신용대출 금리는 4.24%로 7월과 같았다. 은행의 전체 가계대출 금리는 0.01%p 내려간 2.95%였다.
가계대출에서 3.0% 미만의 금리가 적용되는 대출 비중은 76.0%로 높아졌고, 고정금리 비중은 48.4%로 7월(50.3%)보다 1.9%p 낮아졌다.
저축은행의 예금금리는 2.13%로 0.02%p 상승했고 일반대출 금리는 11.44%로 0.24%p 뛰었다.
일반대출 금리는 지난 4월(11.45%) 이후 최고 수준이다.
은행 문턱을 넘지 못한 저소득층이 2금융권으로 많이 이동하자 저축은행들이 수익을 내는 데 공을 들인 것으로 풀이된다. 저축은행의 가계대출 금리는 15.70%로 은행(2.95%)의 5.3배 수준이다. 저축은행과 달리 새마을금고는 예금금리가 1.87%로 0.02%p 떨어졌고 대출금리가3.83%로 0.06%p 하락했다.
상호금융은 예금금리가 0.01%p, 대출금리가 0.02%p 내려갔고 신용협동조합도 예금금리와 대출금리가 각각 0.03%p, 0.07%p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