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승수 전주시장은 29일 “국가 균형발전을 위해 추진된 혁신도시가 제대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법제화를 통한 지역인재 의무채용이 급선무”라고 말했다.
김 시장은 이날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국토교통부 주최 ‘2016 혁신도시 컨퍼런스’에서 ‘혁신도시의 현재 그리고 내일’을 주제로 발표에 나섰다. 김 시장은 발제에서 “단군 이래 최대 국책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는 혁신도시 조성사업은 대한민국 인구의 49.4%가 거주하는 수도권의 과밀 폐해를 완화시키고 지역별 혁신거점 도시를 육성해 지방도시의 경쟁력을 강화시키기 위한 것”이라며 “하지만, 오랜 기간 축적돼온 지방의 낙후도와 수도권 집중으로 인한 지역발전 동력 부재 등으로 인해 국가 균형발전을 위한 혁신도시 조성 효과는 여전히 미흡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지역에서 새로운 일자리가 창출되고 지역인재들이 지역에 남아 성장 동력으로서의 역할을 해야 지역경제 활성화를 통한 국가 균형발전을 달성할 수 있다”며 “지역인재 35% 이상 의무채용이 법제화돼 혁신도시로 이전한 공공기관 내에 지역인재를 위한 안정적인 일자리가 마련되면 일자리를 찾아 수도권으로 몰리는 인재유출 현상을 막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 시장은 정부 차원에서 정부·지자체·이전 공공기관 간의 유기적이고 발전적인 상생대책을 조속히 마련해 추진해 줄 것을 요청하기도 했다.
김 시장은 “혁신도시 조성이 시작된 지 10년이 지난 지금, 인구증가와 지방세수 증가, 지역일자리 등 지역경제 활성화에 긍정적인 성과도 나타나고 있지만 지역에서 바라보는 기대치에는 한참 못 미친다”면서 “지역인재 의무채용 법제화와 정부 차원의 상생대책 마련으로 혁신도시가 조성되는 시·군은 물론, 지방도시 모두가 기대하는 지역균형발전의 획기적인 전환점을 맞게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