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당 조배숙 의원은 일정 규모 이상의 건물에 의무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비상용’ 자가발전기 10대 중 1대 꼴로 정전시 제대로 작동이 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조 의원이 한국전기안전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한국전기안전공사가 정기점검한 비상용 발전기 1만 9957개 중 1858개(9.3%)가 동작상태 불량 등으로 불합격 처리됐다. 공공기관 비상발전기는 3157개 가운데 177개(5.6%), 민간 비상발전기는 1만 6800개 중 1681개가 불합격 판정을 받았다.
특히 공공기관 불합격 건수 882건 중 병원이 440건으로 가장 많았다.
조 의원은 또 한국전기안전공사가 쪽방촌 등 소외계층가구의 노후불량전기설비 사업에 대한 지역불균형도 지적했다. 조 의원은 “노후주택 가구수 파악이 어렵다는 이유로 서울, 부산, 대구·경북, 인천·대전, 충남 지역 쪽방촌만 사업을 실시하고 경기도나 전북 등의 쪽방촌 사업은 전혀 진행되지 못했다”고 제기했다.
더불어민주당 우원식 의원은 한국전기안전공사 이상권 사장이 공사의 예산과 조직을 본인 선거출마를 위해 이용했다고 주장했다.
우 의원은 “이상권 사장은 지난 2014년 2월에 취임하면서 본인 출신지인 충남 홍성군의 지역언론사에 광고 게재를 위한 별도의 일반 예산을 편성해 165만~330만 원의 홍보비를 지출했다”며 “광고비 지원을 받은 해당 언론사는 이 사장의 국회의원 선거 출마 가능성을 시사하는 인터뷰 기사와 동향기사를 수차례 게시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