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포털 잡코리아가 중소기업 인사담당자 528명을 대상으로 ‘직원들의 퇴사’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직원들의 잦은 퇴사로 중소기업들이 겪는 가장 대표적인 어려움은 ‘잦은 채용으로 인한 시간 및 비용부담(63.8%, 복수응답)’인 것으로 조사됐으며 ‘조직 분위기 위축(59.3%)’, ‘원활한 업무 진행에 차질(52.7%)’, ‘기존 직원들의 업무량 증가에 따른 업무효율 저하(43.6%)’, ‘기 투입된 교육비용의 손실(22.7%)’, ‘해당 부서의 업무 성과 저하(16.7%)’ 등도 어려움으로 꼽혔다. 다른 회사에 견줘 본인의 회사가 구별될 수 있는 자랑거리, 장점이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61.6%가 ‘없다’고 답했다.
사실상 직원들의 이탈을 막을 대책이 없는 셈이다. 이 때문에 인사담당자 대부분(94.3%)이 직원들의 이탈을 막기 위한 방지대책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인사담당자들은 직원들의 퇴사를 줄이기 위해 가장 효과적일 수 있는 대책으로 ‘금전적 보상 확대(67.5%, 복수응답)’를 꼽았으며 ‘복지 강화(57.0%)’, ‘소속감 부여 및 기업문화 형성(45.8%)’, ‘업무 효율 향상(24.9%)’, ‘직무 전문성 강화(24.9%)’, ‘조직 및 개인의 성장 가능성·비전 제시(22.5%)’
, ‘업무·노동 강도 축소(19.9%)’ 등의 응답이 뒤를 이었다.
이렇듯 절대 다수의 인사담당자가 직원 이탈 방지대책의 필요성을 느끼고는 있지만, 실제로 이런 대책을 마련해 운영하는 기업은 많지 않았다. 설문에 참여한 인사담당자의 57.6%가 ‘자사에 직원의 퇴사를 줄이기 위한 제도가 마련돼 있지 않다’고 답했다.
·잡코리아(유) 전북지사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