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가 ‘엄마의 밥상(저소득층 아이들 아침밥 지원)’과 ‘딸에게 보내는 엄마의 마음(여성청소년 생리대 지원)’등 각종 복지정책을 지속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재단설립을 추진한다.
26일 전주시와 전북대학교 산학협력단이 전주복지재단 설립을 위해 지난달 19일~24일까지 6일간 전주시민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주시민들은 지역 사회복지실태 조사 중 복지예산이 부족하느냐는 질문에 대해 응답자중 57.3%가 “부족하다”고 답했다.
시민복지의식(53.3%), 복지자원의 발굴정도(51.3%)도 아직 미흡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전주시에 복지재단을 설립하면 도움이 되는지 여부에 대한 질문에서는 전체 응답자의 47.9%가 ‘도움이 된다’고 응답했다.
전주시는 이날 전주시자원봉사센터 1층 강당에서 사회복지기관과 단체, 시설 종사자 및 지역복지 전문가, 시민단체 관계자, 일반시민 등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이 같은 조사결과를 담은 ‘(재)전주사람(가칭) 설립을 위한 타당성검토 및 운영방안 연구·용역 결과보고회 및 시민 의견수렴 공청회’를 열었다.
이날 시민공청회는 시와 전북대 산학협력단이 진행해온 전주형 복지재단 설립 타당성 검토 및 운영방안에 대한 연구·용역 결과를 시민들에게 공개하고 보다 내실 있는 복지재단 설립을 위한 시민들의 의견을 듣기 위해 마련됐다.
이 자리에서 용역책임자인 전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사회복지연구소 김신열 교수는 “전주시의 사회복지환경 변화를 보다 전문적이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통로를 확보함으로써 시민의 지속적인 삶의 질 향상 위한 복지공급의 컨트롤타워 역할수행을 위해 전주형 복지재단 설립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전주시는 이번 공청회 결과를 토대로 이달 말까지 연구·용역 최종보고서가 제출되는대로 전주형 복지재단 모형구축에 본격적으로 나설 방침이다.
우종상 전주시 복지환경국장은 “신속하고 융통성 있는 전주형 복지지원체계를 마련해 제도권 밖의 위기상황에 처한 대상자까지 적기에 지원함으로써 모든 시민이 소외되지 않는 복지특별시 전주를 만들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