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3당이 박 대통령의 국회추천 총리 제안을 공식적으로 거부하고, 청와대 역시 야당에서 요구하는 2선 후퇴 요구를 수용하지 않아 정국은 다시 혼돈에 빠졌다. 이로써 오는 12일 예정된 민중총궐기 집회가 정국의 향방을 가르는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인다. 야3당이 지난 10일 이 집회에 참여키로 합의했기 때문이다.
야권은 특히 이날 시민사회의 대규모 하야 움직임과 당 국민보고대회에서 드러날 지지층의 여론을 주시하고 있다.
이들 집회에서 이른바 반박(반 박근혜) 정서의 확산 추세가 보일 경우 야권의 대여 강공 드라이브는 더욱 강경해지고 장기화할 공산이 크다. 반대로 박 대통령이 물러나야 한다는 여론이 약화되거나 동정심이 움트면서 대외 리스크에 대한 우려가 커질 경우 야권도 장외에서 원내로 대여 투쟁의 활동무대를 이동할 가능성이 커 보인다.
더불어민주당 우상호 원내대표는 “트럼프는 트럼프고 최순실은 최순실”이라며 “민심의 분노는 더 커지고 있다. 12일 집회까지 상황을 보겠다”고 말했다.
국민의당 주승용 비상대책위원은 “국민의당을 포함한 야당이 요구하는 대통령의 완전한 2선 후퇴 없이는 그 어떤 총리추천도, 그에 대한 논의도 의미가 없다”며 “우리당은 닫혀버린 대통령의 귀가 활짝 열릴 수 있도록 광화문 광장에서 국민과 함께 더 큰 목소리를 내겠다”고 말했다.
정의당 노회찬 원내대표는 “박 대통령은 질서 있는 하야와 내년 조기 대선을 통해 새 정부가 위기를 돌파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며 “12일 시국대회에 모이는 국민의 분노에 책임 있게 답하지 않으면 대통령은 강제로 끌어내려질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이날 열릴 대규모 촛불집회에는 민주노총전북본부, 전북시국회의 등 전북지역 시민사회단체가 상경해 참여할 예정이다. 전북시국회의는 전북지역의 참가 규모를 1만2000여 명으로 파악했다.
또 야권의 잠룡으로 거론되는 박원순 서울시장, 국민의당 안철수 전 대표, 이재명 성남시장이 참석할 것으로 알려졌고, 야 3당 대표와 전북의 야당의원들도 참석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