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시가 수천만 원을 들여 진행 중인 행사평가 용역 내부 자료가 외부로 유출된 사실이 확인돼 파문이 일고 있다.
특히 행사 대행업자가 유출된 자료를 이용, 군산시에서 진행한 시간여행축제 사업자 모집 입찰에 참여해 1순위로 낙찰됐다 취소한 사실이 드러나는 등 명확한 진상조사가 요구된다.
군산시는 지난 6월 사업비 4억5000만원의 ‘2016 군산시간여행축제(9월30일~10월2일) 행사대행 용역’ 입찰공고를 냈다.
이 입찰은 지역제한이 아닌 전국단위 입찰로 모두 6개 업체가 참여했으며, 입찰방법은 협상에 의한 계약 방식으로 각각의 업체들이 낸 사업 제안서의 기술능력 평가로 1순위 낙찰자가 결정된다.
제안서 평가 결과 광주 소재 A업체가 1순위 낙찰자로 결정됐지만 A업체가 낸 제안서 내용에 군산시가 현재 진행 중인 ‘대표축제 조사평가연구 용역(용역비 2248만9920원)’ 내용이 들어간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군산시는 용역 유출과 관련한 법적 자문을 받아 ‘법률적으로 문제가 없다’고 결론을 내렸다.
하지만 아무런 법적 문제가 없다던 군산시는 1순위 A업체를 설득해 입찰 결과를 취소하는 이상한 행정을 진행했고, A업체는 법적 문제가 없음에도 소송이나 민원조차 제기하지도 않고 취소 결과를 수긍하는 모습을 보였다.
군산시는 7월 다시 2차 입찰을 실시했고 이 입찰 역시 전국 단위로 풀었다. 또 낙찰자의 재하도급 등을 원천적으로 막기 위해 ‘공동수급 참여 및 제3자에게 재용역 불가’를 입찰공고에 명시했다.
2차 입찰에서는 서울 소재 B업체가 1순위 낙찰자로 선정됐고 B업체는 지난 9월 30일부터 10월 2일까지 치러진 4억5000만원 규모의 군산 시간여행축제를 대행했다.
그러나 군산 시간여행축제 진행 결과 1순위 낙찰자 서울 B업체는 사실상 이름만 내세운 들러리 역할을 했고 실제 사업 대행은 1차 입찰 낙찰자였다가 취소된 광주 A업체인 것으로 드러났다. 입찰에서 규정한 ‘제3자 재용역 불가’ 규정을 어긴 것이다.
상황이 이런데도 군산시는 아직 결과가 나오지 않은 대표축제 조사평가연구용역 유출자에 대한 조사도 실시하지 않았고 관련 기관에 수사도 의뢰하지 않았다.
유출된 조사평가연구용역 자료는 용역을 직접 수행하고 있는 수행기관 관련자들과 용역을 의뢰한 군산시 담당 공무원들이 아니고서는 내용을 알 수 없다.
결국 용역 수행기관 관계자나 해당 공무원 중 누군가가 행사대행 A업체에 고의로 유출시킨 셈으로 이들 간의 유착의혹도 일고 있다.
이 같은 의혹의 내용은 군산시의회 설경민 의원에 의해 파헤쳐졌으며, 군산시는 뒤늦게 ‘공교로운 사태’라며 변명으로 일관하고 있는 실정이다.
군산시의회 설경민 의원은 “용역 유출이 법적 문제가 없다던 군산시가 왜 2차 용역을 실시했는지도 의문이고 낙찰이 취소된 광주업체가 최종 사업을 수행하는 말도 안 되는 행정절차가 진행됐다”며 “수사 권한만 있다면 누가 용역을 유출시켰는지 또 업체와 유착의혹이 있는지에 대해 샅샅이 밝혀 보고 싶다”고 말했다.
이에대해 군산시 관계자는 “A업체가 어떻게 하도급을 수행했는지 어떻게 용역 자료를 입수했는지 여부는 잘 모르겠다”며 “자체 조사를 통해 용역 자료 유출 경위 등을 파악해 보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