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승수 전주시장 "전주-김제 통합논의 官 주도 추진해선 안돼"

전주시의회 시정질문서 입장 밝혀 / "시민이 찬성해야 공론화"

정치권 일각에서 제기돼온 전주시와 김제시의 통합에 대해 김승수 전주시장이 부정적 입장을 밝혔다. 행정적 통합보다는 실질적 연대를 통한 실리 추구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김 시장은 8일 열린 제336회 전주시의회 제2차 정례회 본회의에서 전주시와 김제시·진안군 등 인근 시·군의 통합 필요성에 대한 입장을 묻는 이명연 의원(인후1·2동)의 시정질문에 대해 이같은 견해를 밝혔다.

 

김 시장은 답변에서 “전주시는 인구대비 면적이 좁아, 토지이용의 제한과 용지부족으로 발전 가능성이 제한되는 부분이 있다고 생각해 그동안 완주와의 통합을 꾸준히 시도했지만 완주 주민들의 반대의견이 우세해 실현하지 못했다”며 “시·군 통합은 당위성만으로 추진하기에는 현실적인 어려움이 많다”고 말했다.

 

이어 “인근 시·군과의 통합 구상의 진정성과 필요성에는 동의하지만 몇 가지 점검해 볼 의제가 있다”며 시·군 통합에 대한 생각을 밝혔다.

 

김 시장은 △도시 크기가 중요한 시대는 지났으며 △큰 도시보다는 작은 도시 주도의 통합이 성공 가능성이 크고 △행정과 정치가 아닌 주민 주도의 통합이 필요하며 △시민 대부분이 통합을 원하고 전폭적인 찬성이 있어야 공론화가 가능한 점을 꼽았다.

 

그는 “도시의 경쟁력을 ‘규모’에서만 찾는 패러다임은 지나고 새로운 패러다임이 형성되고 있다”며 “도시의 크기보다는 시민들의 도시 주도성을 높이고, 도시의 공공 공간을 최대한 확대해 시민들의 삶을 질을 높이는 방향으로 선회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 “지난 전주·완주 통합과정을 통해 모두 느꼈듯 시·군간의 통합은 작은 도시에서 적극적일 때 통합의 가능성이 훨씬 높아지며, 전주시의 주도는 자칫 큰 도시의 패권주의로 인식될 수 있어 지역사회의 큰 분열을 가져올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시·군 통합은 행정의 일방적 주도와 정치적 필요에 의해 성립될 수 있는 사안이 아니며, 처음부터 끝까지 주민 주도로 진행해야 성공할 수 있다”며 “통합을 논의할 시점은 시민 대부분이 통합을 원하고, 전폭적인 찬성이 있어야 공론화가 가능하다”고 밝혔다.

 

김 시장은 “이런 우려 사항들을 묻어둔 채 역사성과 당위성으로만 접근한다면 전라북도 전체를 한 도시로 통합해야 할 논리에 이르게 될 수 있다”고 들고 “지금은 행정주도의 통합 논의보다는 실질적인 연대를 통해 규모의 제한을 극복하는 지혜가 필요하다”며 시·군 통합 논의에 대한 부정적 입장을 분명히 했다.

 

한편 이날 시정질문에서 이명연 의원은 “전주시의회 비전연구회 소속 의원들이 공동으로 시·군 통합에 대한 주민의견을 수렴중”이라며 “어떤 정치적 의도 없이 순수하게 주민들께 통합에 대한 의견을 구하고 있으며, 지역주민의 의견이 집약되면 그 뜻을 받아 통합과 관련한 전주시민의 의견을 공론화하고 그 의사를 김제시와 진안군에 묻는 절차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