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 정국 이후 조기 대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향후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이 권력구조 개편을 두고 치열한 싸움을 벌일 것으로 예상된다. ‘포스트 탄핵정국’ 상황에서 민주당은 개헌이 적기가 아니라고 주장하고 있고, 국민의당은 상황을 개헌으로 끌고 갈 모양새다.
민주당은 현실적으로 대선 전에 개헌을 하기는 불가능하다는 진단을 내놓고 있다. 당 내부에서는 ‘박근혜-최순실 게이트’가 제왕적 대통령제 때문에 벌어졌다고 보는 개헌론자들의 시각에 찬성하기 어렵다는 분위기다. 더구나 김부겸 의원을 제외한 문재인 전 대표, 박원순 서울시장, 안희정 충남도지사, 이재명 성남시장 등 당내 대선주자들도 지금이 개헌 적기는 아니라는 입장이다.
또 권력구조뿐만 아니라 헌법 전반을 뜯어 고치기 위해선 시간이 부족하다는 ‘현실론적’이유를 들고 있다. 이에 따라 개헌 논의는 차기정부에서 이뤄져야 한다는 게 적합하다는 주장이다.
반면 국민의당은 개헌을 추진해야 한다고 한 목소리를 내고 있다.
김동철 비대위원장은 “제왕적 대통령제의 폐해와 모순이 구체적으로 드러나서 개헌에 대한 국민적 동의가 확산될 것이라 기대한다”고 말했다. 사실상 국민의당의 대권주자로 꼽히는 안철수 전 상임 공동대표도 지난 13일 “개헌논의를 시작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정치권에서는 국민의당이 개헌논의를 가속화하는 이유로 향후 ‘제3지대’ 연대를 꾀해 정국 주도권을 가져오려는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이렇게 되면 향후 국민의당과 야권의 또 다른 축을 맡고 있는 민주당과의 관계는 급속도로 소원해질 가능성이 제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