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민주 도당 '전북청년기본조례안 마련 위한 토론회'

청년들의 사회참여를 확대하고 안정적인 활동기반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주거와 노동, 양육 등을 아우르는 유기적이고 체계적인 청년정책이 추진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더불어민주당 전북도당(위원장 김춘진)과 전북도의회 농산업경제위원회(위원장 이학수) 주최로 20일 도의회 세미나실에서 열린 ‘전북청년기본조례안 마련을 위한 토론회’에서 참가자들은 현재의 청년정책이 단발성에 그치고 있다며 이같이 제안했다.

 

서난이 전주시의원은 “청년일자리 정책이 기업에 인건비를 보조하는 방식으로 이뤄지고 있다”며 “청년 환경 생태계를 바꿀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서 의원은 청년정책이 “지원-돋움-정착 등 단계별로 추진되고, 최소 3년정도의 기간을 두고 이뤄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창하 평화재단 청년포럼 전북담당은 “청년들이 다양한 일자리를 먼저 경험해보는 것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강용구 도의원은 “청소년 노인 여성 등을 위한 법제는 마련됐지만 청년기본조례안은 아직 만들어지지 않았다”면서 “당론으로 종합적인 청년지원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