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대선 구도에서 초미의 관심사는 탄핵 정국에서 생성된 ‘이재명 돌풍’의 지속성 여부다.
이 시장은 전국뿐 아니라 전북 등 호남에서도 돌풍을 일으키며 대권 판세를 흔들어놓고 있다. 호남 수권을 다투는 ‘기성 정치인’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와 국민의당 안철수 전 대표에게도 위협적인 존재로 급부상했다.
리얼미터가 지난 5~9일 실시했던 여론조사에 따르면 이 시장의 호남 지지율은 21.3%를 기록, 문 전 대표(21.5%)에 이어 2위를 나타냈고, 호남을 지지기반으로 국민의당을 창당한 안 전 대표의 지지율은 16.9%에 그쳤다. 지난 12일부터 16일까지 실시된 여론조사(文 24.7%, 李 17.8%, 安 16.4%)에서는 지지율이 7%나 하락, ‘이재명 돌풍’이 탄핵 정국 때 ‘사이다 발언’ 등으로 빚어진 일시적 현상이었다는 평가도 있지만 돌풍은 쉽사리 사그라지지 않을 것이라는 게 정치권의 중론이다. 탄핵 가결 이전 국민의 심중을 꿰뚫는 ‘사이다 발언’으로 대중의 마음을 사로잡는 데 성공한 이 시장의 지지세는 당분간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 시장의 발언은 대중의 개혁 열망과 흐름을 같이 한다는 게 대중들의 평가다. 이 시장은 탄핵 정국 내내 재벌해체와 역사청산, 부정부패 척결 등을 역설해왔다. 또 ‘탄핵’ ‘퇴진’ ‘구속’을 가장 앞서 일관되게 주장해 대중에게 신선하게 다가섰다.
여기에 기성 정치권과 거리를 두고 있는 점도 이 시장의 무기라는 평이다. 역사적으로 볼 때, 4·19혁명과 10·26사태 등을 거친 후에도 정치권의 개혁 실패로 심판의 대상이 되야 할 독재정권이 들어섰다. 그러나 이 시장 같은 경우 정치권 내부가 아니라 외부에서 정치권을 정리해야 한다는 방식으로 나서기 때문에 대중이 적극적으로 반응한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특검 수사와 헌재 심리 과정에서도 국민의 바람을 읽어내는 언행을 계속한다면 선두권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다.
특히 야권 정권교체의 중추인 호남에서는 안 전 대표가 지지율 부진을 벗어나지 못하고, 문 전 대표가 잔존하는 ‘반문정서’로 전폭적 지지를 받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 시장이 정권 교체의 대안으로 뜨고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그러나 이 시장의 경우 당내 기반이 취약하고 엄격한 언론의 검증 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지지율이 하락할 수도 있다는 관측이 있다. 정치권의 치열한 경쟁과 국정 운영능력이 기대치에 미치지 못하면 지금보다 위상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이 시장은 현재 형수욕설, 논문 표절 등의 논란을 자신의 법리적 역량과 SNS를 통해 정치권 내부의 경쟁구도를 무난히 돌파하고 있다.
또 향후 후보들간의 정책경쟁이 벌어질 때 자신의 시정성과인 복지·수당 문제를 체계적으로 국가정책화한다면 위협적인 대선 후보로 지속될 수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정치권 관계자는 “광장에서 보여준 급진적 언행 때문에 오히려 저평가된 측면이 있다”며 “내년 대선에서 복지수당문제를 쟁점화하고, 외교·안보 등 국가적 사안에 대해 숙고해 온 결과를 보여준다면 예상치 못한 결과가 나올 수도 있다”고 평가했다. <끝>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