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분당 시작…대선판도 '안갯속'

비박계 35명 탈당 결의…26년만의 4당 체제 / 여야 2당 분화, 각 정당후보간 합종연횡 예고 / 정운천 의원 탈당 합류, 새누리 도당 운명 관심

▲ 21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새누리당 탈당 전현직의원들이 회동을 하고 있다. 이날 회동에는 남경필 경기도지사, 무소속 김용태 의원, 이성권·김상민·정문헌·정태근 전 의원 등이 참석했다. 연합뉴스

집권 여당의 ‘핵분열’이 현실화하면서 정국에 불어닥칠 후폭풍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새누리당 비박계에서는 탈당 세력의 확장성이 커져 최소 50여명의 의원이 앞으로 탈당절차를 밟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정국은 복잡하게 흘러갈 전망이다. 4당 체제의 부활로 대선이 ‘다자구도’로 치러질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국민의당과 소수 정치세력이 가담해 있던 제3지대에도 ‘합종연횡’이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26년 만에 ‘4당 체제’…3당 자리는

 

새누리당 비박(비박근혜)계 의원 35명이 21일 집단 탈당을 결의하면서 국회가 4당 체제로 재편될 전망이다. 4당 체제는 1988년 민주정의당, 평화민주당, 통일민주당, 신민주공화당 이후 26년만이다. 비박계가 예고대로 27일 집단 탈당을 결행하면 ‘비박계 신당’은 원내교섭단체를 구성하게 된다. 기존의 새누리당, 더불어민주당, 국민의당 3당 체제에 비박계 신당이 가세한 4당 체제다.

 

정당구도는 요동을 치게 됐다. 원내협상구도는 새롭게 재편되고, 각 정당의 지위에도 변화가 예고된다.

 

현재 국회 의석은 새누리당 128석, 민주당 121석, 국민의당 38석, 정의당 6석, 무소속 7석이다. 하지만 새누리당이 분당되면 민주당은 원내 1당으로 올라서며, 새누리당은 두 자릿수 정당으로 주저앉게 된다.

 

원내 3당의 지위에도 변화가 예고된다. 현재 새누리당 탈당의원은 36명 정도로 예상되지만 비박계는 탈당에 동조하는 의원이 더 늘어날 수 있다고 밝혔다. 비박계 신당이 국민의당 의석수를 넘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기존 여야 세력이 2당씩 분화됨에 따라 다당제 구도도 새롭게 펼쳐질 수 있다. 차기 대선에서 각 정당·후보 간의 합종연횡 시나리오가 나올 것으로 관측된다. 향후 개헌이나 선거구제 개편이 이뤄질 경우 다당제가 한국 정치의 새로운 질서로 굳어질 가능성도 높다.

 

△대선 ‘안갯속’ 제3지대 ‘합종연횡’

 

“차기 대선은 친문과 비문의 대결양상으로 흐를 것 같다.”

 

새누리당 비박계 핵심 의원이 분당발표를 이틀 앞둔 시점에서 한 말이다. 비박계가 국민의당과 손학규 전 민주당 대표 등 제3지대의 다른 세력들과 ‘반문재인’ 전선을 펼칠 수 있다는 의미다. 실제 비박계 내부에서도 거론되는 시나리오 중 하나다.

 

국민의당도 비박계 의원들의 새누리당 이탈에 환영입장이다. 국민의당은 여러 정치세력 중 새누리당 비박계와 전략적 제휴 가능성이 높다는 평을 듣고 있다. 이는 국민의당 지지율이 민주당에 비해 열세인 상황과 관련 있다. 텃밭인 호남에서도 마찬가지다. 이 때문에 비박계와의 연대를 통해 수도권과 TK지역 지지율을 흡수하려는 전략을 펼치지 않겠느냐는 분석이 나온다. 민주당을 고립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때 개헌론이 매개체가 될 가능성이 점쳐진다. 비박계도 개헌에 적극적이고, 국민의당도 내주 중 개헌론의 당론 채택 여부 등을 논의키로 했다.

 

변수는 존재한다. 국민의당과 비박계가 가진 이념적 정체성 때문이다. 양측은 이 때문에 연대에 대해 서로 선을 긋고 있다. 양측 모두 이념적 정체성을 수용할 수 있을 경우에만 연대할 수 있다는 입장을 내놓고 있다. 각자가 가진 지치층의 이반을 막기 위한 포석으로 풀이된다. 이럴 경우 개헌에 가장 적극적인 손학규·김종인 전 대표, 양측으로부터 러브콜을 받고 있는 반기문 유엔사무총장이 어떤 움직임을 취할지 주목된다.

 

△정운천 의원 탈당…새누리 도당은

 

비박계 탈당에 전북 유일의 새누리당 의원인 정운천 의원도 가세했다. 이 때문에 정 의원이 도당위원장으로 있는 새누리당 전북도당의 운명에도 이목이 집중된다.

 

새누리당 전북도당은 존속할 전망이다. 단, 도당위원장 직만 공석이 된다.

 

전북도당 관계자는 “정 위원장의 움직임과는 관계없이 중앙당이 문을 닫지 않는다면, 전북도당과 당직자들은 계속 존재한다”고 설명했다. 다만 “당원들이 정 위원장을 따라나설 가능성 있고, 당 세가 약화될 우려가 있다” 며 “이 때문에 당내 투쟁을 권했다”며 아쉬움을 드러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