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우리나라에 대한 외국인직접투자(FDI)가 역대 최대 실적을 거뒀지만, 전북지역 투자 유치 성적은 전국 최하위권에 머문 것으로 나타났다.
3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2016년 외국인 직접투자 동향’을 보면 지난해 전북지역에 대한 외국인직접투자 도착액은 2900만 달러로 전국 9개 광역도 가운데 가장 적었다.
도착액은 외국인 투자자가 투자 개요를 담은 의향서를 제출한 이후 실제로 투자가 진행된 금액을 말한다. 지난해 전체 외국인 투자 도착액은 97억5900만 달러로, 이 중 75.8%(73억9200만 달러)가 수도권에 집중됐다.
지난해 전북지역에 대한 외국인 직접투자 신고액(7억4800만 달러)은 최근 3년간 가장 많았지만, 실제 투자된 금액은 3.9%에 그쳐 최근 3년간 가장 적었다. 신고액의 90% 이상이 ‘공수표’로 돌아갔다. 지난해 전국의 전체 투자 신고액 대비 도착액 비율(45.8%)에 크게 못미치는 규모다.
전북에 대한 외국인 직접투자 도착액은 2014년 2억5500만 달러, 2015년 8100만 달러, 지난해 2900만 달러로 매년 크게 감소했다.
내수 경기불황과 세계적 경기 침체, 지지부진한 새만금 기업 투자 유치 등이 겹치면서 해외 기업들이 계획과 달리 전북 투자를 외면하기 때문이란 분석됐다.
실제 최근 국회예산처가 발표한 ‘외국인투자유치 지원제도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2년(2014~2015년) 동안 새만금·군산 경제자유구역에 당도한 외국인직접투자(FDI) 신고액이 한 푼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립 등 산업단지 조성과 사회기반시설(SOC) 구축이 더디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최백렬 전북대 무역학과 교수는 “전북지역에 대한 투자 환경이 좋지 못하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이다. 전북도가 주도적으로 투자 환경 개선, 관련 제도 보완 등에 힘써야 한다. 투자를 계획한 기업들에 대한 적극적 사후 관리를 통해 실제 투자로 이어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국용 군산대 경영학부 교수는 “기업들이 지역 여건 변화를 보고 투자를 유보했을 수도 있고, 실제 투자액이 나중에 도달할 수도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이에 따라 전북지역 경제는 매년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실제 지난해 12월 28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5년 지역소득(잠정)’을 보면 2015년 전북지역 실질 지역내 총생산 증가율(경제성장률)은 전년 대비 0%로, 전국에서 가장 낮았다. 전국 평균 경제성장률은 2.8%이다.
한편, 올해 지역경제 여건도 좋지만은 않다. 군산조선소 도크 폐쇄 현실화와 미국 도널드 트럼프 정부 출범으로 예상되는 보호무역주의 강화 등 경제 불확실성이 클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