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따라 국조특위는 정세균 국회의장에게 활동기간 30일 연장의 건을 본회의에 상정해줄 것을 촉구했다. 여야 4당 원내대표들에게도 이 안건 상정에 조속히 합의해달라고 요구했다.
국조특위는 이날 개최한 7차 청문회에서 그동안 불출석했거나 위증한 혐의가 있는 인물을 증인으로 채택했다.
그러나 우병우 전 청와대 민정수석, 안봉근·이재만 전 청와대 비서관, 정송주·정매주 대통령 미용사 자매, 최경희 전 이화여대 총장, 박상진 삼성전자 사장 등 16명의 증인은 출석하지 않았다.
이날 출석요구한 20명 중 정동춘 K스포츠재단 이사장과 남궁곤 전 이화여대 입학처장, 구순성 대통령경호실 행정관, 조윤선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등 4명만 출석했다. 참고인으로는 노승일 K스포츠 재단 부장만이 출석 요구에 응했다.
국조특위 위원들은 불출석한 증인들과 위증한 증인을 상대로 추가 신문이 필요하다며 국조특위 활동기간을 연장해야 한다고 밝혔다.
국조특위 김성태 위원장은 “이번 주 중 여야 4당 원내대표가 만나 국조 활동 기간 연장의 건을 논의하고 합의가 이뤄져야 한다”며 “국회의장이 본회의를 ‘원포인트’로 소집하고 본회의에서 국조특위 활동기한 연장의 건이 상정·처리돼야 한다”고 요구했다.
국조특위 활동은 오는 15일 종료되지만, 여야 합의로 국회 본회의가 의결하면 최장 30일까지 연장된다.
이날 청문회에 참석한 증인들은 관련 의혹에 대해 부인했다.
남 전 입학처장은 최순실 씨의 딸 정유라의 특혜 선발의혹 관련해 “윗선 지시가 없었다”며 부인했고, 정 이사장은 재단의 출연금 불법모금 사실 등에 대해 전면 부인했다. 특히 정 이사장은 청문회 중 제출하기로 했던 재단 회의록을 제출하지 않아 의원들의 분노를 샀다.
조 장관은 이날 ‘문화계 블랙리스트’ 존재를 사실상 인정했다. 문화계 블랙리스트는 정치적 성향 등을 이유로 정부의 지원이 배제된 1만 여명의 문화·예술인 목록이다. 하지만 블랙리스트는 전혀 본 적이 없고, 작성경위에 대해선 전혀 모른다며 부인했다.
다만 참고인으로 출석한 노 부장에 의해 최 씨가 독일 체류 당시 박 대통령과 통화한 정황, 최 씨가 딸과 관련해 김경숙 이화여대 학장과 통화한 사실 등에 대해 밝혀졌을 뿐이다.
노 부장은 자신의 신변에 위협을 느끼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검찰 조사와 국회 청문회 등에서 최순실 씨 측에 불리한 진술과 증언을 내놓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