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지원 체제가 출범했다. 정치권에서는 조기 대선을 앞둔 상황에서 지지율 반전을 노리는 국민의당의 향후 행보를 주목하고 있다. 국민의당은 ‘先 자강, 後 연대’ 방침을 사실상 정했다. 우선 당의 기반인 호남의 지지율을 끌어올리고 당내 대선 주자인 안철수 전 대표에게 힘을 실어본 뒤, 향후 대안을 모색하자는 것이다.
△호남 지지율 회복
새 지도부 구성을 마친 국민의당은 곧바로 대선 체제로 전환한 뒤 안 전 대표가 주장했던 ‘자강론’에 힘을 보탤 것으로 관측된다. 이날 대부분의 후보자는 자강론을 내세웠다. 특히 최근 뉴DJP(김대중·김종필)연합을 강조했던 박 신임 원내대표도 자강론에 동조했다.
국민의당의 이 같은 움직임은 창당 동력이었던 전북 등 호남의 민심을 다잡아 최근 하향세에 있는 지지율을 끌어올리겠다는 포석으로 보인다. 최근 반 총장, 바른정당과의 연대설 등으로 정체성을 의심받았던 만큼 호남에서 우위를 되찾겠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 당권 후보들은 호남에서 지지율이 높은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를 겨냥하는 공세를 펼치기도 했다. 특히 박 신임대표는 “선총리 후탄핵을 반대하고, 개헌도 눈치만 보고, 대통령이 다 된 것처럼 행동하는 사람에게 대한민국을 맡길 수 있겠냐”며 자신이 문 전 대표에 맞서 국민의당을 대선 승리의 중심으로 이끌 적임자라고 강조했다.
△안철수 힘 실어주기
당권 후보들은 안 전 대표에게 힘을 실어주려는 움직임을 적극적으로 보였다. 최근 주승용 원내대표 등 일부 호남 중진들이 반 전 총장 등과의 연대론을 내세운 것과는 다른 움직임이다.
김영환 전 사무총장은 “안철수 만한 깨끗한 후보가 어디 있냐”며 “1000억 이상을 기부하고 200억 이상 세금을 납부하고, 전과도 하자도 없는 깨끗한 후보를 세워서 우리가 대선에서 왜 승리하지 못하냐”고 반문했다.
손금주 의원도 “안 전 대표와 새 정치를 함께 하는 동지로서, 안철수의 새정치와 호남정신을 연결하는 다리가 되겠다”고 강조했다.
국민의당은 또 전당대회에서 안 전 대표가 주장해 온 결선투표제 도입을 뼈대로 하는 정치제도 개혁안을 정강·정책으로 채택했다.
국민의당에서 이 같은 결정을 내린 이유는 최근 총선 홍보비 리베이트 의혹에 연루됐던 박선숙·김수민 의원 등 관련자들이 전원 무죄판결을 받은 것과도 관련이 있다. 당 구성원들은 리베이트 의혹 사건을 ‘안철수 흠집내기’를 위한 정권의 기획수사로 간주하고 대대적으로 반격에 나설 전망이다.
△연대 가능성은 여전
국민의당이 우선 자강 행보를 보이더라도 결국 외부세력과 힘을 합할 여지는 남겨둔 것으로 보인다. 애초 제3지대를 표방해온 만큼 자강을 내세워 외부 세력과의 연대 가능성을 차단할 경우 오히려 역풍을 맞게 될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또 반 전 유엔 사무총장이 귀국하면서 정치권이 다시 지각변동을 앞둔 상황에서, 안 전 대표의 지지율이 어느 정도로 회복될지 예측할 수 없는 것도 변수다. 당 내부에선 당이 보유한 후보의 지지율이 당 지지율과 상관관계가 있는 만큼 안 전 대표의 지지율이 반등해야 국민의당 당세 회복도 가능하다고 전망하고 있다. 이 때문에 안 전 대표가 지지율을 회복하지 못할 경우 언제든 연대론이 힘을 받을 수도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게다가 연대론을 두고 당내 구성원들이 또 다른 갈등을 벌일 수도 있다는 전망까지 제기된다. 당 관계자는 “일단은 당의 힘을 키워놓자고 의견을 모았지만, 아예 연대를 하지 않는 다는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