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조선업 구조조정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조선밀집지역의 사업 다각화를 위해 국비 2400억원을 투입한다. 이에 더해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관계자들은 원금상환유예 연장에 대한 추가 검토를 요구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8일 한국산업단지공단 전북지역본부에서 ‘조선밀집지역 2017년 중점 추진 계획’ 현장설명회를 열고 사업 다각화 5대 패키지, 대체 산업 민간 투자, 조선업 실업 인력 지원 등을 설명했다. 이 자리는 지난해 10월 정부가 발표한 ‘조선밀집지역 경제 활성화 방안’의 후속 조치다.
한국무역협회의 수출 동향을 보면 지난해 11월 기준 국내 총 수출은 전년 대비 2.5% 상승한 반면, 조선밀집지역인 5개 시·도 수출은 전년대비 평균 9.4% 감소했다. 특히 전북은 21.5% 줄어들어 울산 11.6%, 부산·전남 9.7%, 경남 3.6%에 비해 큰 감소 폭을 보였다. 5개 시·도의 기업경기동향, 소상공인 체감경기도 지속적으로 악화되는 추세다.
이와 관련 산업부는 조선업체가 연관 업종으로 사업을 확대할 수 있도록 국비 2400억원을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사업 다각화 5대 패키지에는 △발전설비 기자재, 해상풍력 등 R&D(기술개발) 지원(50억원) △시제품 제작, 국내외 판로개척 등 사업화 지원(45억원) △투자 보조금 1106억원 △사업 전환 자금 1250억원 등이 투입된다.
조선지역 특성상 투자 수요가 많은 해상풍력에 대한 민간투자도 촉진한다. 조선밀집지역에서 발굴한 투자 프로젝트에 대해 원 루프(One Roof) 서비스를 통해 신속히 사업을 착수하도록 도울 예정이다.
또 조선업 실업자에게 보조금을 지원하는 특별고용지원업종의 지정 기간(2016년 6월~2017년 6월) 연장도 검토하고 있다. 지난해 특별고용지원업종 지정 당시 유보했던 현대중공업·삼성중공업·대우조선해양 등 대형 조선 3사에 대한 추가 지정 여부도 논의할 계획이다.
전북도와 군산조선소 관계자들은 현 사태의 근본적인 해결 방안으로 군산조선소 존치를 주장하는 한편 관공선 조기 발주 등 정부의 적극적인 소비 유인 정책을 요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