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교과서 보조교재 대표 집필위원을 맡은 조법종 우석대 교수(역사교육과)는 지난 31일 교육부가 발표한 국정 역사교과서 최종본과 검정 도서 집필기준에 대해 “교육의 원칙이나 학생·교사를 고려한 정책이 아니라 정권의 목적을 유지하려는 꼼수”라고 지적했다.
조 교수는 “국정 역사교과서 최종본은 건국절 등 현장검토본에서 논란이 된 내용과 방향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단순한 오류를 수정하는 데 그쳤다”면서 “검정 교과서 집필기준에 다소 융통성을 보였지만 이는 국정교과서를 유지하고자 하는 편법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국·검정 교과서 혼용 정책은 국정 교과서의 기조를 유지하면서 친일·반민주세력에 면죄부를 줘 역사의 준엄한 평가를 회피하려는 현 정권의 의도”라며 “학교 현장의 혼란이 불 보듯 뻔한데도 교육부가 편법으로 이를 조장하고 있다”고 질타했다.
조 교수는 “국·검정 교과서 혼용에 따른 교육현장의 혼란을 막기 위해서는 국회가 새 학기가 시작되기 전에 역사교과서 국정화 금지 법안을 조속히 처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그는 역사교과서 국정화에 대응해 전북과 광주·강원·세종 등 4개 시·도교육청이 지난해부터 추진하고 있는 역사교과서 보조교재 개발 사업은 국정교과서 존폐와 상관없이 계속하겠다고 밝혔다.
조 교수는 “보조교재는 국정교과서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국·검정 교과서와 주제에서 차별화 할 것”이라며 “올 연말까지 집필을 마치고 일선 교사와 전문가 검증, 교사 연수 과정을 거쳐 내년 1학기부터 활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또 보조교재의 내용에 대해서는 “민주시민 교육과 평화·인권·지역사 등 4가지 주제로 기존 국·검정 교과서가 담지 못한 내용을 시대별로 안배할 것”이라며 “우선 중·고교 보조교재를 개발한 후 초등 교재 개발 방안도 논의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초등 교재는 역사에 대한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내용, 중·고교 과정은 학생들의 올바른 역사 인식에 초점을 맞추겠다는 설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