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중에서 ‘처녀(處女)’는 아직 시집을 가지 않고 집에 머물러 있다는 뜻의 ‘처(處)’자에 ‘녀(女)’자가 들어 있어서 그 뜻을 짐작할 수 있다. 하지만, ‘총각(總角)’은 그 어원을 전혀 짐작하기 어렵다.
한자인 ‘총(總)’은 ‘다, 모두’라는 뜻을 나타내고 있지만, 원래는 ‘꿰맬 총’, ‘상투 짤 총’ 등으로 쓰이던 것이다. ‘각(角)’은 물론 ‘뿔’이다. 그렇다면 총각은 그 모습이 상투를 뿔처럼 매고 다닌 사람을 가리킨 말이다.
실제로 옛날에는 남자아이들이 머리를 양쪽으로 갈라 뿔 모양으로 동여맸고 이들을 ‘총각’이라고 했었다. 그러다가 장가를 가면 정식으로 상투를 틀어매고 다녔으니 뿔처럼 머리를 맨 사람은 대개가 장가가기 전의 남자였다. 그래서 그러한 머리를 한 사람을 ‘총각’이라고 한 것이며 어린 소년들에게도 ‘총각’이라고 불렀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