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다수의 차주가 고금리를 적용받고 있는 데다 여러 금융기관에서 돈을 빌린 다중 채무자가 많아 경기 침체 때 저축은행 개인 차주부터 부실화될 가능성이 크다는 우려가 나온다.
8일 예금보험공사에 따르면 저축은행의 개인 신용대출 잔액은 지난해 9월 현재 8조4700억원으로 1년 새 37.9%(2조3300억원) 증가했다.
저축은행의 전체 대출 자산에서 개인 신용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4년 말 17.3%에서 2015년 말 18.3%로 높아지다가 지난해 처음으로 20%대를 넘어섰다. 작년 9월 말 비중은 20.6%다.
저축은행들은 2011년 영업정지 사태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에 타격을 받은 이후 개인 신용대출을 지속적으로 늘리고 있다.
저축은행들이 개인 신용대출에 적용하는 금리는 20%대 고금리에 집중돼 있다.
지난해 1∼9월 신규 취급된 개인 신용대출 4조원 가운데 대출금리가 연 20% 이상을 넘는 대출금액은 2조9000억원으로 72%를 차지했다.
저축은행의 개인 신용대출은 4∼7등급의 중·저신용자를 주된 대상으로 한다.
금융감독원 집계 결과 지난해 말 기준으로 저축은행에서 돈을 빌린 개인 차주(신용대출·담보대출 포함) 99.5%의 신용등급이 4등급 이하였다.
저축은행 다중채무자 중 신용등급 6∼10등급인 차주의 대출 비중은 85%로 상호금융(36%), 여신전문금융회사(43%)보다 높은 수준이다. 경기 침체시 부실 위험이 다른 금융회사보다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
예보가 분석한 결과 저축은행은 4∼5등급 중신용자에 개인 신용대출을 했을 때 대출마진(7∼8%)을 가장 크게 얻고 있었다.
저축은행들의 고금리 일변도 대출은 갈수록 어려워질 것으로 보인다.
금감원은 저축은행들이 자의적으로 대출금리 산정을 하지 않도록 다음 달 중으로 금리 관련 세부 규정을 마련할 계획이다.
저축은행들이 금리가 20% 이상인 고위험 대출을 한 경우 대손충당금 적립률을 일반 대출보다 20% 쌓아야 하는 내용의 ‘상호저축은행업 감독 규정’ 개정안도 시행을 앞두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