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안 조속 인용을"… 압박수위 높이는 야권

3野 대표회동 갖고 "3월13일 이전 선고" 목소리 높여

▲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대표(가운데), 국민의당 박지원 대표(왼쪽), 정의당 심상정 대표가 8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당 대표 회동을 하고 있다. 야3당은 조기 탄핵 관철과 박영수 특별검사팀 활동시한 연장 대책 등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연합뉴스

박근혜 대통령 탄핵심판을 심리중인 헌법재판소가 오는 22일까지 변론을 이어가기로 하면서 ‘2월 선고’ 가능성이 무산된 가운데 야권이 헌법재판소의 조속한 결론을 압박하고 나섰다.

 

국민의당 박지원 대표는 8일 “헌재는 피청구인들의 눈치를 보지 말고 오직 국가와 국민만 보고 소신껏 신속하게 탄핵심리를 마무리하고 3월 13일 이전에 탄핵 선고를 해줄 것을 거듭 갈망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정미 헌재 소장 권한대행이 퇴임한 이후 심리를 진행하거나 결정서를 작성하면 심판에 참여한 재판관의 의견이 원천 봉쇄되는 매우 불합리한 결과를 초래한다”고 조속한 결론을 거듭 강조했다.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대표도 이날 자신의 SNS에 “대통령 탄핵심판이 사실상 2월은 넘겨야 하는 상황이 됐다”며 “적어도 2월 말까지는 이 지긋지긋한 상황이 끝나기를 바랐던 국민적 기대를 저버린 헌재의 결정을 대단히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는 그러면서 “2월 22일이 마지막 기일이다. 그날까지 대통령이 나오지 않는다면 대통령의 출석 필요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며 “대통령의 진술을 듣기 위한 출석은 탄핵심판의 필수도 아니고, 변수가 되어서도 안 될 것”이라며 조기 선고 필요성을 역설했다.

 

한편 이날 오후 국회에서 진행된 야3당 대표회동에서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국민의당 박지원, 정의당 심상정 대표는 “헌재는 이정미 재판관 임기 이전에 탄핵심판을 인용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 “특검 수사 연장이 이뤄져야 한다”며 “황교안 대행은 이를 지체 없이 승인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