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직속 새만금 수석비서관 신설돼야"

전북도, 새만금 6대 과제 공약 발굴 / 전담 체계 개선·엑스포 유치 등

새만금 사업이 속도를 내기 위해서는 대통령 직속의 ‘새만금 수석비서관’신설이 대선공약으로 반영돼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전북도는 8일 “새만금개발청이 새만금 사업을 전담하고 있지만 국토교통부 외청으로 다른 부처와의 업무협의 등에서 한계를 드러냈다”며 “속도감 있는 개발을 위해서는 4대강 사업이나 행복도시와 같이 대통령의 추진의지가 가장 절실하다”며 ‘새만금 전담 추진체계 개선’을 대선공약으로 꼽았다.

 

노태우 정부 때부터 현 정권까지 새만금 사업이 대선공약에 빠지지 않았지만, 전담 추진체계 미비로 용지 매립을 비롯해 도로와 철도 등 사회간접자본(SOC) 구축이 기대치에 미치지 못했기 때문이다.

 

전북도는 수석비서관 신설을 비롯해 국무조정실 새만금사업추진지원단의 권한 강화 등 제도 개선을 통해 지지부진한 새만금 사업을 본 궤도에 올려야 한다는 의견이다.

 

수석비서관이 신설되면 대통령이 새만금 업무를 적극적으로 챙길 수 있고, 관련 부처에 대한 통솔력을 높일 수 있어서다.

 

최근 전북도는 이 같은 내용의 새만금 관련 6대 과제를 대선공약으로 발굴했다.

 

과제는 새만금 전담 추진체계 개선, 국가 주도 용지매립 추진, 국책사업에 걸맞은 SOC 구축, 4차산업 육성 국가 연구개발 실증 테스트베드(시험장) 조성, 2030 새만금 엑스포 유치, 새만금사업 지역업체 참여 확대다.

 

이 중 국가 연구개발 테스트베드의 경우 전북의 강점인 농생명산업 기반을 적극 활용한다.

 

혁신도시와 김제·정읍 등에는 미생물 전문연구기관을 비롯해 40여개의 연구기관이 모였고, 농생물 특화연구개발특구로도 지정되는 등 신산업 육성기반이 탄탄하다.

 

전북연구원도 4차산업혁명 시대의 신산업 육성 전략으로 농생명 등 전북의 강점을 살려 ‘친환경 바이오소재 산업의 허브’로 조성해야 한다고 보고서를 발표했다. 연구원은 바이오산업 육성방안 연구를 통해 농생명, 신소재, 라이프케어 등 3대 특화분야를 발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