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계절이 뚜렷한 우리나라에서 각 계절별로 내리는 비는 느낌도 그 특성도 때에 따라 다르다.
그 중에서도 봄비와 겨울비를 구분한다면 ‘사랑은 봄비처럼 이별은 겨울비처럼’이란 노래로 설명할 수 있다.
한랭 건조한 시베리아 기단 지배로 겨울을 재촉하는 겨울비와 달리, 고온 건조한 양쯔강 기단의 지배로 내리는 봄비는 포근함 그 자체다.
‘사랑은 봄비처럼 이별은 겨울비처럼’이란 노래는 봄비는 달콤하고 포근한 느낌을 주는 반면, 겨울비는 차갑고 날카로우면서 기온을 더욱 떨어뜨린다는 작사가의 기상학적 이해가 돋보이는 곡이다.
오늘 중부지방과 남부일부지방을 시작으로 내일은 전국에 비소식이 전해진다.
동해안과 영남지방에 지속되고 있는 건조함을 해소시켜주기에 충분한 많은 양은 아니지만 포근함을 더해줄 이번 비는 입춘이 지나고 내리는 완연한 봄비임이 틀림없어 보인다.
맹소영 날씨칼럼니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