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조합에 가입한 버스노동자의 근무 여건 차별이 여전히 개선되지 않았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전국공공운수노동조합 전북버스지부와 아래로부터전북노동연대, 전북평화와인권연대는 15일 전주시의회 5층 회의실에서 ‘호남고속 노동자 차별·일터 괴롭힘 실태조사 보고서 발표·토론회’를 열고 노동 조건의 실태를 확인하기 위해 지난해 2월 1일부터 6개월간 운행일지 등을 분석하고 호남고속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면접 조사 등을 실시해 분석한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들 단체는 조사 자료에 따르면 조합원과 비조합원간 근무 여건 차별은 고질적인 문제로 드러났다고 주장했다.
한 달 평균 근무 일수는 조합원(12.19일)이 비조합원(12.56일)보다 낮았고, 특히 조합 중에서도 민주노총(12일)과 타 노조(13.7일) 소속 기사의 근무 일수 차이가 컸다고 밝혔다.
또 민주노총 조합원은 평균 운행거리가 가장 긴 노선으로 편중됐고, 운행 편의성이 좋은 저상버스 배정도 조합원은 3명이지만 비조합원은 43명이었으며, 교통사고가 난 민주노총 조합원들은 징계위 의결 없이 징계했다고 밝혔다.
송기춘 전북평화와인권연대 공동대표는 “헌법적으로 보장된 노동조합 활동을 억압해서는 안 된다”며 “특정 노조 소속 버스기사에 대한 차별적 대우는 이에 대한 감독권을 가진 자치단체와 국가기관의 방임과 방관으로 자행되고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