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기 대선을 앞두고 도내 단체장과 시·도의원들이 거취를 두고 주판알을 두드리고 있다.
야권 대선주자들의 호남 공략이 거세지는 상황 속에서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 무소속 단체장과 지방의원들이 선택지를 두고 고심하고 있는 가운데, 일부 지방의원과 단체장의 당적 이동이 잇따르고 있다.
무소속이었던 박성일 완주군수와 이항로 진안군수는 15일 민주당에 입당했다. 박 군수는 이날 전북도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군민의 여론을 수렴한 결과, 정권교체에 일정 부문 역할을 해야 하는 것이 도리라 생각해서 민주당에 입당했다”고 말했다. 이 군수도 “풀뿌리 민주주의인 지방자치가 제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정치와 행정의 긴밀한 협조가 필수적이라는 판단과 군민의 뜻을 반영해 결정했다“고 밝혔다.
군산과 임실지역의 무소속 또는 국민의당 시·군 의원 5명도 당적을 바꿀 것으로 보인다. 이들 중 임실군의회의 김왕중 김종민 의원(무소속)은 민주당에 입당할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김제시의회의 온주현 의원도 지난 9일 김제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가진 뒤, 국민의당을 탈당했다.
지난달에는 민주당과 무소속 지역의원들이 국민의당으로 이동했다. 지난달 25일에는 강병진 도의원이 민주당을 떠나 국민의당에 입당했다. 앞서 11일에는 남원시의회 강성원 김성기 왕정안 의원(전 민주당)과 김승곤 의원(무소속), 순창군의회 조순주(전 민주당)의원이 국민의당으로 옮겼다.
정치권은 이들의 움직임에 대해 내년 지방선거를 의식한 행보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대선정국에서 특정 후보를 위해 기여한 다음, 지방선거에서 공천을 받겠다는 것이다.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 전북도당은 이런 분위기를 이용해 치열한 영입경쟁을 벌일 전망이다. 더불어민주당의 경우 조직을 강화해 대선 주도권을 유지할 수 있고, 국민의당은 지지세를 확장할 수 있는 정치적 효과를 누릴 수 있어서다.
정치권 관계자는 “각 정당은 단체장과 지방의원들의 욕구를 이용하는 전략을 펼칠 것”이라며 “대선이 가까워질수록 지역 내 정당 갈아타기는 한 층 더 활발해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