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당은 23일 의원총회를 열어 자체 개헌안을 당론으로 채택했으며, 바른정당도 이날 의총에서 개헌 당론을 마련했다. 앞서 국민의당은 지난 17일 국회 개헌특별위원회 소속 의원들이 만든 개헌안 초안을 공개했다.
일부 공개된 정당별 초안을 보면, 한국당은 대선 전 개헌을, 국민의당·바른정당은 내년 지방선거 때 국민투표를 통한 개헌을 주장한다. 대통령 임기에 관해서는 한국당·바른정당은 대통령 4년 중임제를, 국민의당은 대통령 6년 단임제로의 개헌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이처럼 각론에는 차이를 보이지만 3당 원내대표는 분권형 대통령제를 공통분모로 하는 개헌안 마련에 뜻을 모았다. 정당별 안이 아니라 가급적 단일 개헌안으로 만들어 조속히 추진하자는 데 공감을 이룬 것이다.
자유한국당 정우택 원내대표는 이날 의원총회에서 “우리 당론이 대선 전 개헌이긴 하지만 이대로만 추진하진 않는다”며 “국민의당과 바른정당과 협의를 해 단일안을 가급적 빠른 시일 내에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렇듯 여야 3당의 활발한 개헌 연대 논의에 대해, 정치권에서는 민주당의 비문계 개헌세력을 끌어들이려는 전략이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개헌을 명분으로 이른바 ‘개헌 빅텐트’를 구상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런 가운데 민주당에서는 ‘경제민주화와 제왕적 대통령제 극복을 위한 국회의원 모임’ 소속의원 30여명은 개헌워크숍을 열고 본격적인 개헌논의를 시작했다. 이 때문에 민주당 내 비문계 의원들이 개헌을 고리로 새판짜기를 벌일지에 관심이 모아진다.
특히 이 자리에는 ‘대선 전 개헌’론을 갖고 여야를 넘나든 행보를 보이는 김종인 전 비상대책위원장이 참석해 이런 관측에 힘을 실어줬다. 실제 김 전 비대위원장은 당 차원을 넘어 바른정당 김무성 의원, 정의화 전 국회의장과 ‘개헌 빅텐트’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
김 전 비대위원장은 이날도 “개헌 문제를 단순히 정파적 이해관계에 따라 생각하고 ‘이대로 가면 편한데 개헌을 왜 하느냐’는 식의 생각을 하는 사람들이 있다”며 “이는 한국정치와 정당문화의 고질적 폐단”이라고 꼬집으면서 개헌의 당위성을 강조했다. 이에 따라 대선판이 ‘개헌세력 대 반개헌세력’의 대결구도가 형성될 수 있다는 주장도 나온다.
정치권 관계자는 “일각에서는 개헌을 고리로 비박(비박근혜)·비문(비문재인)’ 진영을 한데 모여 제3지대 개헌연대가 구축될 수도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