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균 국회의장은 28일 “탄핵 여부는 헌법재판소의 판결에 맡기고, 탄핵심판 이후의 대한민국을 위해 냉정하고 차분하게 준비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정 의장은 이날 발표한 담화문에서 “헌법재판소 최종변론을 끝으로 이제 선고 절차만을 남겨놓고 있다”며 “탄핵시계가 막바지로 흐르면서 이를 둘러싼 국론분열과 대립이 위험수위를 넘나들고 있다”며 이 같이 말했다.
그는 “최근 민주주의의 가치를 부정하고 훼손하는 일이 종종 벌어지고 있어 매우 안타깝고 걱정스럽다”며 “일각에서 벌어지는 헌법기관에 대한 부당한 압박이나 모욕, 심지어 신변위협 같은 행위는 결코 민주주의로 포장될 수 없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민주주의란 다른 말로 ‘반대가 허용되는 체제’”라며 “우리 사회에서 이런저런 다양한 주장과 요구가 넘쳐나는 것은 민주사회의 자연스러운 현상이지만 의견의 표출은 합리적이고 평화로운 방식이어야 한다”고 밝혔다.
정의장은 이와 함께 “우리의 미래를 우리 손으로 결정할 수 있음을 세계만방에 선포한 3·1운동을 계기로 대한민국임시정부가 건립됐고, 오늘날의 대한민국이 존재할 수 있었다”며 “3·1절 이전과 이후가 나뉘듯, 탄핵심판 결정 이전과 이후가 달라야 한다. 어떤 결과가 나오건 깨끗이 승복하고 새로운 대한민국으로 거듭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 의장은 또 “민생과 남북관계는 혹한기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고 나라 안팎으로 불확실성이 깊어져 한 치 앞을 내다보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오직 국민의 단결과 합심만이 조금이라도 봄을 앞당길 수 있다”고 지적하면서 새로운 대한민국 희망 만들기에 국민 모두가 힘을 모아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