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기와 “대한 독립 만세”
#표지.
태극기와 “대한 독립 만세”
#1.
1882년.
일본으로 향하는 배 안에서 박영효가 그린 태극기.
#2.
1885년.
고종이 외무를 담당하던 미국인 데니에게 하사한 태극기.
#3.
1896년.
독립신문 제호의 태극기.
#4.
1919년.
군산 구암동산을 비롯해 전국에서 물결치던 3·1운동의 태극기.
#5.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함께 중앙청에 게양된 태극기.
#6.
1949년.
문교부 고시로 지금의 모습이 확정된 태극기.
#7.
1960년.
3·15 부정선거를 규탄하고 이승만 대통령의 하야를 촉구하던 4·19 혁명의 태극기.
#8.
1980년.
계엄 해제를 요구하던 전북대 학생들의 태극기, 5월 민중항쟁의 그 태극기.
#9.
1987년.
민주화를 요구하던 6월 항쟁의 태극기.
#10.
2002년.
“대~한민국!”을 외치던 이들이 몸에 두르고 얼굴에 그리던 태극기.
#11.
2017년.
‘삼일절이구나! 태극기 걸어야겠지?’
#12.
(웅성웅성)
(태극기!)
(300만!)
#13.
(이 빨갱이 놈들!)
(계엄령을 선포하라!)
#14.
(…….)
#15.
유구한 역사와 전통에 빛나는 우리 대한국민은 3·1운동으로 건립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법통과 불의에 항거한 4·19 민주이념을 계승하고, 조국의 민주개혁과 평화적 통일의 사명에 입각하여……(이하 생략)
- 대한민국 헌법 전문
오늘은 98돌 3·1절입니다.
/기획 신재용, 구성 권혁일, 그림 이권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