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의 탄핵 심판 결론이 초읽기에 들어간 탓인지 여야는 98주년을 맞은 3·1절에도 대통령 탄핵에 날선 대립을 보였다.
자유한국당은 야권이 집회를 통해 국민의 분노를 부채질하는 선전행위를 한다고 비판했고, 범여권인 바른정당은 3·1절을 맞아 국가적 위기를 극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 정의당 등 야 3당은 박근혜 정부의 대일 외교정책 등을 비판하면서 대통령 탄핵을 통해 촛불 시민혁명을 완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자유한국당 김성원 대변인은 “3·1절을 맞았지만 광화문 광장 등지에서는 보수단체와 진보 단체간 탄핵찬반을 두고 집회가 열려 물리적 충돌이 우려된다”며 “야권은 이제 분노를 부채질해 대결구도를 만드는 선동행위를 그만둬야 한다”고 비난했다.
범여권인 바른정당의 이기재 대변인도 “모든 정당과 정치지도자들은 찢긴 국론을 모으기 위해 머리를 맞대야 한다”고 강조했다.
반면 민주당 박경미 대변인은 “3·1절 유신잔재들의 역습이 벌어지고 태극기의 정신이 호도되는 작금의 현실에 분노를 금할 수 없다”며 “98년전, 우리 선조들은 일본의 식민 지배를 거부하고 자주독립을 되찾고자 분연히 일어섰고 일제의 총칼에 태극기를 들고 맞섰다”며 탄핵을 완수하겠다고 강조했다.
국민의당 김경진 수석대변인은 “일본 정부의 탄압에도 선조들이 꿋꿋이 지켜왔던 자랑스런 태극기가 대통령의 헌법파괴, 불법행위를 감싸려는 일부 극우단체에 악용되는 현 상황이 안타깝다”고 비판했다.
정의당 추혜선 대변인은 “현 정권은 일본과 굴욕적인 위안부 협상을 맺는 것도 모자라 정부 요인들이 나서서 일본을 적극 변호하는 작태를 보여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런 가운데 여야 대선 주자들은 이날 각각 대통령 탄핵에 반대하는 ‘태극기 집회’와 탄핵을 촉구하는 ‘촛불집회’에 집결했다.
자유한국당의 대선주자인 이인제 전 최고위원과 김문수 비상대책위원 등 당 소속 의원들과 함께 태극기 집회에 참석했다. 김 비상대위원은 이날 탄핵 반대 입장을 드러내는 발언을 했다. 이에 반해 민주당 대선주자인 문재인 전 대표와 이재명 성남시장은 촛불집회에 참석해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탄핵인용을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