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를 위해 복지부는 이른바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 수행기관을공모해 인천성모병원, 강원대병원, 국립중앙의료원, 인제대 상계백병원, 이화여대 부속 목동병원, 충남대병원, 아주대병원 등 15개 응급실을 선정했다.
이 사업은 병원 응급실별로 2명 안팎의 상담인력을 배치해 응급실에 실려 온 자살시도자에게 치료를 받을 수 있게 상담하고, 지역사회 서비스와 연계 지원을 해주는 것으로 2013년부터 시행되고 있다.
또 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과 손잡고 자살시도자 1명당 최대 300만원의 치료비를 지원한다. 총 지원금액은 2016년 2억5000만원에서 올해 4억원으로 확대됐다.
복지부가 2013년 8월부터 2015년까지 이 사업 성과를 분석해보니, 상담 서비스를 받은 자살시도자의 사망률은 5.9%로, 비상담 자살시도자의 14.6%보다 훨씬 낮았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