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대선 주자들이 6일 합동토론회에서 꼬리를 무는 삼각공방을 벌였다.
특히 당내 지지율이 3위인 이 시장은 선두인 문 전 대표를 향해 공격을 집중한 반면 2위인 안 지사는 오히려 이 시장을 견제하는 등 세 주자 간 물고 물리는 신경전이 벌어졌다.
이 시장은 모두 발언이 끝난 직후부터 문 전 대표를 향해 날을 세웠다. 이 시장은 “문 전 대표는 법인세 인상이 복지재원 확보의 가장 마지막 방법이라고 했다”며 “재벌 등 사회의 기득권자가 문 전 대표에게 몰리는 것 같다. 일종의 기득권 대연정이다”고 비판했다. 이 시장은 또 “문 전 대표는 재벌개혁에 소극적이다”며 “과거 기업의 법정부담금 폐지를 공약한 바 있다”며 공세를 이어갔다. 이 시장의 이런 공세는 진보층의 표심을 가져와 문 전 대표의 1차 과반 특표를 막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문 전 대표는 이에 대해 “법정 부담금을 폐지하겠다는 게 아니라 준조세를 없애겠다고 했다”고 반박하면서, “이 시장은 재벌해체를 얘기하는 데 기득권자 일체를 다 배제하면 새로운 대한민국을 열어갈 수 없다”고 응수했다.
문 전 대표는 또 “이 시장은 제 자문단에 삼성 출신이 많다고 왜곡된 말을 했는데, 팩트 점검 결과 사실이 아니라고 확인됐다”며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문 전 대표는 이후 다른 주자들에 대한 공세보다 대북정책이나 자신의 일자리 공약을 설명하는 데 시간을 할애했다. 안정감을 부각시켜 선두주자로서 ‘대세론 지키기’ 전략을 편 것으로 풀이된다.
오히려 이 시장에게 날을 세운 것은 안 지사였다. 최근 지지율이 하락하며 이 시장과의 2위 다툼이 재점화된 상황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안 지사는 이날 ‘통합형 리더’로서의 이미지를 부각해 이 시장과 차별화를 꾀했다.
안 지사는 이 시장이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 사드)와 관련, ‘중국을 봉쇄하려는 미국의 전략’이라고 발언한 것을 두고 “그렇게 단언하면 한미동맹이 중국봉쇄전략으로 왜곡될 우려가 있다”며 “확정적이고 단정적 발언은 안보전략에서 위험하다”고 지적했다.
이 시장은 이에 “현재 상태가 더 위험하다”며 “사드를 원점으로 돌리지 않으면 헤어나올 수 없다”고 반박했다.
안 지사는 또 이 시장이 재벌개혁 문제로 문 전 대표를 공격한 것에 대해 “상대를 재벌편인 것처럼 몰아붙이면 동지적 우애와 신뢰를 깎는다”며 “민주당에서 한솥밥을 먹는 사람들로서 기본적인 것을 불신하는 태도는 보이지 말자”고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