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좌석 안전띠 착용 생활화

▲ 김윤철 전북청 경찰관기동대
“안전띠는 생명줄”

 

안전띠는 나와 가정의 행복과 같은 안전띠 착용을 강조하는 문구를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이처럼 안전띠의 중요성은 과거부터 자주 들어왔고 강조되어 왔지만 ‘운전자만 안전띠를 잘 매면 된다’라는 잘못된 인식이 있는 것 같다. 교통안전공단의 자료를 보면 운전석 안전띠 착용률은 91%, 조수석은 83%로 대체적으로 잘 착용하고 있다. 하지만 뒷좌석의 안전띠 착용률은 28%로 앞좌석에 비해 현저히 낮은 착용률을 보이고 있다.

 

최근 5년간 고속도로에서 발생한 안전띠 미착용 사망자 수는 전체 교통사고 사망자의 33%를 차지한다.

 

특히, 뒷좌석 탑승자가 안전띠를 매지 않은 상태에서 교통사고가 발생하면 동승자를 충격해 사망하게 할 확률이 7배나 커진다. 다시 말해서 뒷좌석 안전띠 미착용은 동승자의 생명을 앗아갈 수 있는 살인행위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사정에 따라 지난해 7월 국무회의에서 고속도로를 비롯하여 일반 도로에서도 전 좌석 안전띠 착용을 의무화하는 법안이 의결되어 전 좌석에서 안전벨트 미착용 시 좌석 당 과태료(3만원)가 각각 부과되게 되었고, 2019년도부터 승용차 및 소형 화물차의 모든 좌석에 안전띠를 착용하지 않는 경우 경고음 및 경고등이 발생하는 장치를 자동차에 의무적으로 설치하는 방안이 추진 중에 있다.

 

법의 시행에 앞서 그것보다 중요한 것은 국민들의 인식전환이 먼저이다. 단지 단속을 회피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운전자 자신과 사랑하는 가족 등 소중한 사람들의 생명을 지켜줄 기본적인 안전장치라는 교통 선진 의식이 필요하다.

 

전 좌석 안전띠 착용 불편하고, 귀찮다고 이를 외면하지 말고, 정유년 새해 계획으로 삼고 우리 모두 생활화 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