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 자전거정책, 도청 소재지 중 꼴찌

종합 점수 10점 만점에 3.24점

전주시의 자전거정책이 도청소재 도시(안동·무안 제외) 중 최하위 수준을 기록했다.

 

8일 한국교통연구원이 밝힌 ‘2015·2016년 기준 도청소재지 자전거 정책 평가’에 따르면 전주시는 종합 점수 10점 만점에 3.24점을 기록해 7개 도청소재 도시 중 꼴찌로 집계됐다. 지역별로는 춘천이 5.75점으로 가장 높았고, 창원(5.72점)과 세종(5.58점), 수원(4.47점), 청주(4.1점), 제주(4.08점)가 그 뒤를 이었다.

 

전주시의 영역별 점수로는 ‘자전거 편의시설 확충 실적’과 ‘자전거 이용시설 유지보수 예산 확보’, ‘자전거사고 치사율’, ‘자전거 안전시설 설치’, ‘자전거 이용시설 만족도’, ‘시민의 자전거정책 만족도’ 등이 6위였다. ‘자전거도로 확충 및 정비실적’, ‘자전거관련 지자체 자체 예산 확보’ 등이 5위였다. 총 21개 평가 영역 중에서 14개 항목이나 4~6위를 기록했다.

 

한국교통연구원 김사리 연구원은 “지자체별 자전거 정책의 부족한 부분을 파악해 효과적으로 정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평가를 실시했다”며 “향후 전국 단위의 지자체별 평가 시행에 기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전주시는 올해 조직개편에서 저전거정책과를 신설해 자전거 타기 좋은 도시를 만들기 위한 노력을 벌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