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재에 쏠린 눈…여야 모두가 숨죽였다

10일 탄핵선고 앞두고 정치권 칼날같은 긴장감 / 與 기각 기대…野, 인용 기정사실화·승복 촉구

▲ 박근혜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를 하루 앞둔 9일 오후 서울 종로구 재동 헌법재판소 인근 도로가 경찰 버스와 병력으로 붐비고 있다. ·연합뉴스

탄핵열차가 종착역에 이르면서 여야 정치권의 긴장감이 최고조에 달했다. 탄핵선고 결과에 따라 각 당과 대선 주자들의 명암이 엇갈리게 되기 때문이다.

 

탄핵심판을 하루 앞둔 9일 여야 정치권은 비상체제를 유지하며 헌재 동향에 신경을 집중했다. 여야 대선 주자들도 긴장감 속에 각기 다른 행보를 이어갔다.

 

여야 모두 이날 “헌재 결과에 승복하겠다”며 한 목소리는 냈지만, 탄핵 찬반을 둘러싼 막판 여론전을 치열하게 벌였다.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 바른정당 등 야권은 헌재의 탄핵 인용을 기정사실화 하고 박근혜 대통령의 헌재 결정 승복을 촉구했다.

 

민주당 우상호 원내대표는“박근혜 대통령은 헌재에서 어떤 결정이 나와도 승복하겠다고 선언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한국당의 석고대죄도 촉구했다. 고용진 대변인은 “한국당 의원 60명이 박 대통령 탄원서에 서명했다”며 “국정농단 사태를 방조한 책임이 있는 한국당이 노골적으로 탄핵을 반대하는 것은 추한 모습”이라며 날을 세웠다.

 

국민의당 주승용 원내대표는 “헌재가 국민의 뜻에 따라 박 대통령 탄핵소추를 인용할 것이라고 믿어 의심치 않는다”고 강조했다.

 

바른정당은 기각시 의원직을 총사퇴하겠다는 결의를 재확인한 뒤 박 대통령의 헌재 결정 승복을 촉구했다. 또 한국당내 비박(비박근혜)계의 바른정당행을 압박했다.

 

정병국 대표는 “한국당 내 탄핵 찬성파 의원들도 용기를 내야 한다”며 “더 이상 망동을 일으킨 친박세력과 한 집에 있을 이유가 없다”고 호소했다.

 

자유한국당은 소속 국회의원과 원외당협위원장, 당직자들에게 당사와 국회 주변에 대기하라고 지시를 내리는 등 비상체제를 가동했다. 김선동 원내수석부대표는 “국가적으로 상당한 홍역을 치르고 있어 무거운 심정으로 처신할 수 밖에 없다”고 밝혔다.

 

내부적으로는 기각·각하 기대감이 적지 않다. 친박 핵심인 김진태 의원은 자신의 페이스북 페이지에“태극기는 점점 커졌고 헌재 분위기도 달라졌다”고 밝혔다.

 

대선주자들의 행보에도 한국당과 야권 주자 간 확연한 차이를 보였다.

 

한국당 주자들은 긴장감 속에 각자의 대선 행보를 소화했다. ‘탄핵 기각 내지 각하’를 주장했던 이인제 전 최고위원과 김문수 비상대책위원은 각각 안산과 부산에서 열린 태극기집회에 참석했다. ‘헌재 승복’원칙을 강조했던 원유철 의원은 국회에서 ‘북핵 해결을 위한 모임(핵포럼) 긴급간담회’를 개최했고, 안상수 의원은 신용회복위원회를 방문해 서민 신용문제에 대한 현황을 청취했다.

 

반면 야권 주자들은 아예 일정을 비우거나 최소화했다. 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는 공개일정없이 헌재의 탄핵선고에 촉각을 곤두세우며, 탄핵이후 정국을 구상했다. 안희정 충남지사는 광주·전남지역 기자간담회와 조계사 방문 외 일정을 비웠고, 이재명 성남시장은 조계사 자승총무원장을 만나는 일정 외 나머지 시간은 헌재의 동향을 주시했다.

 

국민의당 안철수 전 대표는 방송 출연 외 일정을 잡지 않은 채 탄핵 후 정국구상에 몰두했다. 손학규 전 민주당 대표는 이날 오전 광주시의회에서 자영업자 보호 대책 공약을 발표하는 등의 일정을 소화했지만, 탄핵국면에 대비하기 위해 오후 일정 일부를 취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