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 오른 장미대선, 정치권 경선체제 돌입

정당, '3말 4초' 대선후보 선출 전망…일정 빠듯 / 민주 독주속 주도권 경쟁 가속…호남민심 관심

 

박근혜 전 대통령이 지난 10일 파면됨에 따라 정치권은 경선준비체제에 돌입했다.

 

대통령 선거가 5월 초로 예상되는 가운데 각 당은 대체로 3월말~4월초에 후보를 선출하는 빠듯한 일정표를 마련했다.

 

더불어민주당은 빠르면 4월 3일 후보를 확정하고, 결선투표가 치러진다면 4월 8일 후보를 선출할 계획이다.

 

22일 전국 250개 투표소에서 동시에 투표를 시작하며, 호남(25~27일), 충청(27~29일), 영남(29~31일), 수도권·강원·제주 순으로 ARS·순회 투표를 실시한다.

 

민주당은 경선 흥행 제고를 위해 12일부터 시작된 경선 선거인단 2차 모집기간을 애초 7일에서 10일로 연장했다.

 

경선룰 갈등에 시달려온 국민의당은 지난 10일 ‘현장투표 80%+여론조사 20%’의 경선방식을 확정하고 경선일정에 대해 협의하고 있다.

 

현장투표는 사전선거인단 모집 없이 완전국민경선제로 치러지며, 투표결과 과반득표 후보가 없을 때는 최종 경선일 이틀 후 결선투표를 시행하는 안도 확정했다. 또 순회경선 일정도 호남부터 시작하기로 합의했다.

 

바른정당은 28일까지 대선 후보를 결정하기로 하고, 19일부터 국민정책평가단 투표를 위한 ‘슈퍼스타K(슈스케)’식 토론회에 돌입한다. 이에 따라 19일 호남권을 시작으로, 21일 영남권, 23일 충청·강원권, 24일 수도권에서 토론회를 열고, 28일 서울에서 후보 지명 대회를 개최한다.

 

자유한국당은 오는 31일 전당대회를 열어 대선후보를 선출하기로 12일 결정했다.

 

한국당은 13일 오전 9시부터 15일 오후 3시까지 후보자 등록을 받은 뒤 16일 합동연설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또 17일 여론조사를 통한 예비경선을 실시한 뒤, 18일 본경선에 참여할 후보를 3명으로 압축하기로 했다. 예비경선은 여론조사를 통해 실시하되 책임당원70%, 일반국민 30% 비율로 반영했다.

 

한국당은 본경선 후보자가 결정되면 19일부터 대구·경북, 부산·울산·경남, 호남, 충청, 서울 등 전국을 순회하는 국민면접 방식의 토론회를 개최한 뒤 여론조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정의당은 이미 심상정 대표를 대선후보로 확정해놓은 상태다.

 

각 당이 대선을 향한 가속페달을 밟으면서 주도권 경쟁이 치열해질 전망이다. 사실상 독주체제를 이어온 민주당과 반전을 모색하려는 여타 전력의 권력싸움이 가열될 것으로 보인다. 정치권에서는 한국당, 국민의당, 바른정당이 제3지대에서 개헌을 고리로 후보단일화 승부수를 던질 것이라는 분석도 내놓는다. 실제 3당은 지난달 21일 원내대표 회동에서 개헌 추진에 속도를 내기로 의견을 모았다. 이번 주중에는 단일개헌안 확정을 시도할 계획이다.

 

또 민주당과 국민의당, 바른정당 간의 호남 민심 쟁탈전도 관전 포인트다. 세 당 모두 대선 후보 경선의 첫 매듭을 가장 먼저 푼다는 전략을 세웠다. 전통 야권의 텃밭에서부터 호남에서부터 경선 흥행몰이를 하겠다는 전략이다.

 

지역 정치권 관계자는 “탄핵 정국을 거치면서 호남의 정치적 위상이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다”고 펑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