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한 국립대학교의 통학버스 운영과 관련해 입찰에 문제가 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이 대학의 통학버스 운영 입찰시 다른 대학들과 달리 공동 수급이 불가능하도록 규정됐고, 또한 운영업체가 정해지기도 전에 버스 이용요금 인상이 공지되는 등 일반적이지 않은 과정이 진행돼 특정 업체를 밀어주기 위한 것 아니었느냐는 의혹을 받고 있는 것.
실제로 도내 A대학의 통학버스는 한 업체가 7년 넘게 운영해왔고, 이번 2017학년도 통학버스 입찰에서도 공동 수급이 불가하다는 조건을 내건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도내 다른 B대학교 통학버스 입찰 과정에서도 이 업체에 유리한 내용으로 입찰이 진행돼 논란이 제기됐고, 이에 B대학은 올해 입찰에서는 공동 수급이 가능하도록 입찰 조건을 개선해 2개 업체가 노선을 나눠 운영에 들어갔다.
전자입찰을 주관하는 조달청은 올해 A대학에도 통학버스 입찰에 공동 수급이 필요한 것 아니냐며 해당 대학과 협의했지만, A대학 측이 부정적인 입장을 내비쳐 올해에도 기존 업체 1개가 단독으로 입찰을 따내 운영을 맡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더해 A대학은 운임 인상과 관련해 일반적이지 않은 과정으로 의혹을 사고 있다.
A대학이 통학버스 요금 인상과 관련한 공지를 게재한 날짜는 2월 17일이지만, 공개 입찰을 통해 통합버스 운영업체가 결정된 날짜는 2월 22일로 확인됐다. 통학버스 운영업체가 선정되기도 전에 버스 이용요금 인상이 공지된 것이다.
A대학 관계자는 “지난해 통학버스 운영과 관련해 5000여만 원의 부족분이 발생해 대학에서 보전해줬고, 올해도 학교측의 보전이 불가피하다는 판단에 따라 모든 노선 1회 운행 운임을 100원씩 인상했을 뿐”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타 대학 관계자는 “공개 입찰을 통해 업체를 선정하고 난 뒤 운임을 결정하는 것이 일반적인 절차”라고 지적했다.
이런 가운데 관련 업계에서는 도내 전세버스, 관광버스 업체들이 회사 출퇴근 버스와 통학버스를 나눠 먹기식으로 운영하며, 들러리 입찰을 선다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A대학 관계자는 “조달청 나라장터 시스템을 통해 공개 입찰을 하기 때문에 특정 업체를 밀어주거나 할 수는 없다”고 말했으며, 업체 관계자는 “담합이나 들러리 입찰은 절대 이뤄질 수 없는 부분”이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