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스크를 쓴 채 전주시내를 걷던 박모 씨(32)는 “뿌연 하늘만 봐도 찝찝해서 마스크를 꼭 쓴다”며 “화장 지워지는 게 조금 마음에 걸리긴 하지만 건강이 더 중요하다”고 말했다.
뿌옇게 변한 하늘과 마스크를 쓰고 다니는 사람들. 최근 들어 주변에서 심심찮게 마주칠 수 있는 모습이다.
봄이면 어김없이 찾아오는 불청객 ‘미세먼지’에 도민들의 우려가 크다.
22일 한국환경공단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에서 미세먼지 주의보는 183회, 경보는 23회가 발령됐다. 초미세먼지 주의보도 89차례나 발령된 것으로 나타났다.
전북지역의 경우 2014년 미세먼지 주의보 3차례, 2015년에는 미세먼지 주의보 7차례와 초미세먼지 주의보 7차례, 지난해에는 미세먼지 주의보 6차례와 초미세먼지 주의보 3차례가 발령됐다.
하지만 올해 들어 전북지역에서는 이미 미세먼지 주의보 1차례와 초미세먼지 주의보 4차례가 발령됐다.
특히 전북지역의 경우 3년 연속 대기환경 기준(연평균치:50㎍/㎥)을 넘어서고 있어 미세먼지와 관련한 심각성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상황이 이런데도 전북에는 미세먼지 원인을 분석할 수 있는 대기오염 집중측정소가 설치돼 있지 않고, 미세먼지 경보제도 단일 권역으로 운영하고 있는 실정이다. 인근 광주광역시가 구 단위마다 미세먼지 경보제를 운영하고 있는 것과 대비된다.
또한, 대기측정소는 도시대기측정망 14개 지점과 도로변 측정망 1개 지점, 대기중금속 측정망 1개 지점 등 15개소가 운영 중이지만 대부분 서부권역에 집중돼 있어 도민들에게 정확한 정보 제공이 이뤄지기 힘들다는 지적이 나온다.
미세먼지는 세계보건기구(WHO)가 정한 1급 발암물질로 PM10과 PM2.5 두 종류로 나뉘는데, PM10(미세먼지)은 대기 중에 부유하는 분진 중 지름이 10㎛(마이크로그램, 10㎛은 0.001cm) 이하인 먼지로 우리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가늘고 작은 입자이며, PM2.5(초미세먼지)는 대기 중에 부유하는 분진 중 지름이 2.5㎛보다 작은 먼지로 머리카락 지름의 30분의1 보다 작다.
PM10의 경우 기상조건 등을 고려해 해당지역의 시간당 평균 농도가 150㎍/㎥ 이상으로 2시간 이상 지속될 때 주의보가 발령되고, PM2.5는 시간당 평균농도가 90㎍/㎥ 이상 2시간 이상 지속될 경우 발령된다.
OECD가 발표한 국제 대기질 평가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대기오염으로 인한 조기 사망률이 2010년 100만 명 당 359명에서 2060년에는 1109명으로 3배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대기환경 기준은 세계보건기구(WHO)가 권고한 기준보다 지나치게 낮게 책정된 것으로 나타나 미세먼지와 관련한 환경 기준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신창현 의원(더불어민주당, 경기 의왕·과천시)은 “세계보건기구가 지정한 1급 발암물질인 미세먼지에 대한 국내 환경기준 목표를 WHO 권고기준보다 못 미치는 수준으로 설정한 것은 높아져가는 국민의 우려 수준보다 한참 뒤처진 것”이라고 주장했다.
전북대 지구환경과학부 오창환 교수는 “가장 시급한 것은 미세먼지의 원인을 밝혀내는 것”이라며 “학계에서도 다양한 주장이 있지만 제대로 된 연구를 통해 원인을 밝혀내고 개선해 나가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