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연구원은 23일 발표한 보고서 ‘대 중국 해외직접투자의 목적 변화와 경제의존도에 대한 시사점’에서 “한반도 사드 배치 결정 후 최근 중국의 한국산 제품에 대한 경제적 보복이 현실화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를 작성한 장용준 경희대 교수는 “이 같은 경제적 피해를 줄이려면 중국을 최종 목적지로 하는 ‘제3국 진출형 해외직접투자’를 확대하는 것이 해결책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중국의 주변국을 생산기지로 활용하라는 조언이다. 이렇게 하면 우리나라가 아니라 투자대상인 제3국이 원산지로 표시되기 때문에 ‘돌발 정치 변수’를 피해 중국으로 무난하게 수출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 중국 주변국 대부분은 임금이 낮기 때문에 가격경쟁력이 뛰어난 제품을 만들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장 교수는 공적개발원조(ODA)와 연계한 전략도 유효하다고 조언했다.
ODA는 선진국에서 개발도상국이나 국제기관에 하는 원조를 말한다. 현재 중국 주변국은 대부분 우리나라 ODA 대상국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