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20가구 미만 마을 '전국 최다'

통계청 '2015 농림어업총조사' / 도내 과소화 마을 수 줄었지만 5년새 전국 점유율 40%로 늘어

전북 과소화마을(20가구 미만)이 2010년에 이어 2015년에도 전국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2010년부터 2015년까지 전북 과소화마을 수는 1027곳에서 515곳으로 줄었지만, 전국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33%에서 40%까지 늘었다. 전국 과소화마을 10곳 가운데 4곳은 전북에 있다는 의미다.

 

전북도가 통계청의 ‘2015 농림어업총조사’를 분석한 결과, 전북 과소화마을은 2010년 1027곳에서 2015년 515곳으로 512곳(49%) 감소했다. 전북 내 과소화마을 비율도 2010년 20%에서 2015년 10%로 줄었다.

 

그러나 전북 과소화마을이 전국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2010년 33%에서 40%까지 늘었다. 이는 같은 기간 전국적으로도 과소화마을이 3093곳에서 1270곳으로 1823곳(59%) 감소했기 때문이다. 과소화마을은 전북 515곳(40%), 전남 338곳(26%), 경남 116곳(9%), 경북 112곳(8%), 충북 70곳(5%), 충남 46곳(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2010·2015 농림어업총조사를 비교하면 전국적으로 과소화마을은 감소하는 추세다. 가장 큰 원인은 귀농·귀촌 가구의 증가다. 실제 2010년부터는 이농 인구와 이도 인구가 역전되면서 농촌을 떠나는 인구보다 도시를 떠나는 인구가 많아졌다.

 

이와 관련해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송미령 농업·농촌정책연구본부장은 “전북은 지형적인 특성상 산간부 마을이 많기 때문에 과소화마을과 읍·면 중심지 마을과의 대중교통·생활 편의시설 등 격차가 심할 가능성이 있다”며 “이 경우 읍·면으로 귀농·귀촌 가구 쏠림 현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과소화마을이 생긴다”고 설명했다.

 

이어 “과소화마을 해소는 시설 구축이 아닌 딜리버리 서비스(Dilivery Service) 보완이 우선”이라며 “전북이 시행하는 콜버스(수요응답형교통·DRT)를 확대하거나 영화관·도서관·목욕탕 등 작은 시리즈를 과소화마을 구성원의 수요에 따라 재추진하는 방안을 고려할만 하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