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창조과학부(이하 미래부)가 박근혜 전 대통령의 역점 정책인 ‘전북창조경제혁신센터’에 대한 본격 감사에 착수한다. 창조경제혁신센터에 대한 감사는 설립 2년 만에 처음이다.
이를 두고 박근혜 정부 흔적 지우기 또는 시스템 보완이라는 해석이 분분하다. 박 전 대통령 파면으로 전북창조경제혁신센터도 감사 결과에 따라 존폐 갈림길에 설 전망이다.
미래부는 지난 22일부터 24일까지 3일간 전북창조경제혁신센터에 대한 예비감사에 착수하고 자료를 수집했다. 예비감사에서는 사업 기획, 예산 집행, 인력 채용 등 업무 전반에 관한 자료를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본감사는 다음 달 3일부터 7일까지 5일간 진행한다.
이번 감사는 2014년 설립된 대구창조경제혁신센터(9월), 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4월), 전북창조경제혁신센터(11월), 경북창조경제혁신센터(12월) 등 4개를 대상으로 이뤄진다. 이들 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문제점이 발견될 경우 전체로 감사를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또 최근 효성그룹의 인사로 전북창조경제혁신센터 내에 파견된 효성 관계자가 4명 중 2명이 자리를 옮기면서 효성의 전북창조경제혁신센터 운영 의지도 의심받는다. A 부장은 지난 6일, B 직원은 16일 자로 인사 발령이 났다. 이들은 탄소기업 발굴·관리 업무를 맡았다. 효성 측은 정권과는 무관한 그룹 차원의 인사라고 설명하지만, 추가 인력 보충은 확정되지 않은 상태다.
이에 대해 전북도 관계자는 “이번 창조경제혁신센터 감사는 특정한 문제점을 발견해 진행하는 표적 감사가 아닌 지도·점검 차원의 감사”라며 “또 전북창조경제혁신센터 내 인력 파견과 관련해 효성 측에서는 추후 인원을 확보하면 재배치한다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한편 창조경제혁신센터는 전국 18개 시·도에 구축됐다. 전북(효성), 대구·경북(삼성), 대전·세종(SK), 광주(현대자동차), 포항(포스코), 충북(LG), 부산(롯데), 경기(KT), 경남(두산), 강원(네이버), 충남(한화), 전남(GS), 제주(카카오·아모레퍼시픽), 울산(현대중공업), 서울(CJ), 인천(한진)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