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교육정책 만족도 상승

전북교육청의 교육정책에 대한 수요자들의 만족도가 꾸준히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북교육청은 도내 각 초·중·고교 학생과 학부모, 교직원들을 대상으로 지난해 전북 교육정책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10점 만점에 평균 7.7점이 나왔다고 28일 밝혔다. 지난 2015년 조사에서는 7.6점, 2014년에는 6.81점이었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10월 24일부터 11월 11일까지 온·오프라인 설문조사 형태로 진행됐으며, 도내 초·중·고교 학생 4463명과 학부모 6246명, 교직원 3802명 등 총 1만4511명이 응답했다.

 

응답자별 만족도는 학생(7.88점), 학부모(7.75점), 교직원(7.46점) 순이었다. 또 지역별로는 장수(8.26점)와 임실(8.15점), 남원(8.13점)에서 상대적으로 만족도가 높았고, 전주(7.4점)와 무주(7.48점), 고창(7.53점)에서는 낮게 나타났다.

 

조사 항목별로는 학생의 경우 ‘안전한 학교생활’(8.16점)과 ‘학교폭력 예방 노력’(8.13점), ‘등교 시각 늦추기’(8.1점) 등에서 만족도가 높았다.

 

또 학부모는 ‘학생 놀이활동’(8.54점)과 ‘초등 돌봄교실 운영’(8.36점)에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나 ‘학부모 참여’(7.19점)와 ‘진로·진학정보 제공’(7.26점) 항목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를 줬다.

 

교직원은 ‘교권침해 대응 노력’(6.33점)과 ‘특성화고 교육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6.99점), ‘현장체험 중심의 역사교육 지원’(7.2점) 항목에서 아쉬움을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