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문재인 후보는 10일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열린 중소기업단체협의회 초청 강연회에서 “중소기업의 고용을 정부가 책임지겠다”며 중소기업 지원 공약을 제시했다.
문 대표는 중소기업이 청년 2명을 정규직 사원으로 신규채용하면 이어지는 세 번째 채용에 대해 정부가 임금전액을 3년 동안 지원하는 ‘추가고용 지원제도’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성과공유제를 도입한 중소기업의 경우 노동자와 나누는 경영성과급에 대해 세금과 사회보험료 감면을 약속했다. 아울러 중소기업의 연구·개발 지원을 임기 내 2배로 확대하고, 중소기업협동조합의 공동사업을 공정거래법상 ‘담합’에서 제외하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문 후보는 “이제 재벌 대기업 중심의 성장전략을 폐기할 때이다”며 “재벌 중심의 경제체제가 대한민국 미래성장의 발목을 잡고 있다. 일자리가 만들어지는 성장, 노동자의 임금이 올라가는 성장, 분배가 공정한 성장을 만들어야 한다. 그 핵심은 중소기업 육성”이라고 말했다.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도 청와대 청년수석실 설치와 대학입학금 폐지 등의 청년정책을 발표하며 정책대결에 맞불을 놓았다. 안 후보는 이날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청년일자리 BE정상회담’에서 이 같은 내용의 청년공약을 발표했다.
안 후보는 청와대에 청년수석실을 만들고, 청년을 수석으로 임명해 청년정책 분야에 현장의 목소리를 직접 반영하겠다는 복안이다. 안 후보는 이와 함께 임차 보증금 융자 지원을 늘리고 연간 5만호씩 공동임대주택을 늘려 청년들의 주거를 안정시키겠다고 밝혔다.
안 후보는 “청년들이 이자 부담을 덜고, 더 안정적으로 거주하면서 자기를 계발할 수 있는 기본적 환경을 꼭 조성해야 한다”면서 “현재 서울시에서 시행하는 청년임차보증금 융자 지원을 확대 실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그러면서 “청년 공동임대 주택도 연간 5만호씩 늘려야 한다”며 “1인 가구 중심으로 확대하면 청년 주거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안 후보는 청년의 주거권 보장을 위해 대학의 기숙사 시설확충과 개선도 정부가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