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욱이 일부 시도에서 전북과 같거나 유사한 사업을 대선공약으로 제시함에 따라 사업별 차별화와 지역균형발전 논리 등이 대선공약 반영의 관건으로 떠오를 전망이다.
송하진 전북도지사는 12일 국회에서 각 정당의 정책위의장과 지역 국회의원을 잇따라 만나 핵심 과제 위주로 대선공약 반영을 요청했다. 송 지사는 또, 각 후보들의 전북공약 발표 내용을 비롯해 토론회와 기자회견 등을 통해 밝혔던 지역 현안의 대선공약 반영을 요구했다. 지역균형인사와 전북 독자권역 설정 등 ‘전북 몫 찾기’를 위한 현안 과제도 제안했다.
앞서 전북도는 첨단 미생물 발효소재 고도화 기반구축, 연기금·농생명 특화 금융중심지 조성, 공공·특별행정기관 전북본부 설치, 안전보호 융복합제품산업 육성, 새만금 국가주도 용지매립 추진, 소리창조클러스터 조성사업, 지리산 산악철도 등 48개 대선과제를 발굴했다.
그러나 이번 대선 화두로 떠오른 4차산업을 비롯해 대선 단골 과제인 SOC 구축, 탄소 소재부품화, 국립기관 설립 등 일부 시도에서 전북과 같거나 비슷한 사업을 각 정당에 제안해 대선공약 채택 여부를 놓고 지역별로 희비가 갈릴 것으로 보인다.
실제 경남도는 전북도가 대선과제로 넣은 ‘국립노화연구원 설립’을 각 정당에 제안했다. 전북도는 청정지역으로 꼽히는 순창지역을 중심으로 국립노화연구원 설립을 추진해왔다.
경북도는 ‘탄소 융합소재·부품벨트’와 ‘ICT 융복합 4차산업혁명 선도특구’를, 광주·전남은 공동 과제로 ‘기술융합 4차 산업혁명 메카 조성’을 대선과제로 발굴했다.
전북도 관계자는 “정당별 공약 반영상황을 긴밀히 파악해 즉각적으로 대응하겠다”면서 “대선공약 발굴과제가 지역 발전을 앞당기는 핵심 사업이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전북도는 도로와 철도·공항 등 주요 SOC 사업의 내년도 예산 확보활동에도 힘을 기울이고 있다.
김일재 부지사는 이날 정부 세종청사에서 열린 ‘국토교통 예산협의회’에서 호남고속도로 확장·새만금~전주간 고속도로 건설·새만금 동서남북도로 건설·새만금 신공항 건설·전주역사 전면개선사업 등 모두 5개 과제의 내년도 예산반영을 건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