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군산연결도로가 부분 개통된 후 신시도, 선유도 등 일대 관광지는 지난해 관광객이 100만을 넘어서는 등 새로운 관광 명소로 떠오르고 있으나 고군산군도 도서지역과 연안일대에 무분별하게 방치된 쓰레기 문제는 관관명소로 자리매김하는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어 반드시 해결해야 할 과제로 꼽힌다.
이 지역은 해안가의 특성상 해수면이 높아지는 사리때 바닷물과 함께 온갖 쓰레기가 밀려들어 왔다가 해안가에 그대로 남아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또 일부 비양심적인 주민들이 아무렇지 않게 불법 투기한 쓰레기로 몸살을 앓고 있다.
군산시에 따르면 고군산군도에 연간 4000톤의 육상 및 해양쓰레기가 발생되고 있으나 시와 해양수산부가 처리할 수 있는 양은 연간 1800톤으로 나머지 1200톤의 해양쓰레기가 누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하루가 멀다 하고 쌓여가는 쓰레기를 치우기 위해 시는 14억 원(국·도·시비)의 예산을 들여 어촌마을 환경정비 사업과 함께 행정력을 총 동원한 대청소를 실시하고 있지만 역부족이다.
실제 시는 지난달 연인원 950명을 동원해 170톤에 이르는 쓰레기를 처리했으나 한 달도 채 되지 않아 또 다시 쓰레기가 쌓여가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시는 턱없이 부족한 예산으로 막대한 양의 해양쓰레기를 처리하는데 어려움을 격고 있으며, 고군산군도가 청정지역으로 인식되기 위해서는 주민들의 동참과 정부의 예산지원이 절실한 실정이라는 게 군산시 관계자의 설명이다.
이때문에 도서주민 스스로가 해안가 주변의 그물, 부표, 김양식용 폐어구 등에 대한 해양쓰레기 수거와 마을의 환경정비를 실시하고 쓰레기 불법투기를 자제토록 자치위원회를 구성하는 환경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고군산군도 주민 김태수씨(50)는 “고군산군도가 관광명소로 발돋움하기 위해서는 지자체만 탓하지 말고 지역 주민들이 최소한 집 인근에 버려진 쓰레기는 솔선수범해 회수하고, 행정기관에서 수거하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