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의 준비 끝에 설립된 ‘전북문화관광재단’이 지난 19일 출범 1주년을 맞았다. 전북문화관광재단은 ‘예향 전북’의 발전 원동력인 문화·예술·관광을 전문적으로 지원하고 발전 토대를 만드는 기관으로, 지역 문화·예술계의 많은 기대를 모았다. 출범 1주년을 맞은 재단의 성과와 앞으로의 과제를 들여다본다.
‘전북문화관광재단’에 대한 평가는 엇갈린다. 전북도 이관 사업이나 일부 단기적인 사업을 수행하는 것에 그쳐 설립 목적인 전문성을 보여주지 못했다는 지적과 함께 재단의 첫 1년은 관 중심의 문화·예술 사업을 민간으로 이양하는 과정이었기 때문에 새로운 성과에 대한 평가를 하는 것은 무리라는 시각도 있다.
민간기관에서만 펼칠 수 있는 깊이 있는 문화정책이나 사업을 찾아보기 힘들고, 전북도 이관 사업 역시 기존에 비해 전문성이나 투명성이 강화되지 못했다는 것. 하지만 정책 전문가들은 “광역 문화재단이 첫 해에 가장 중요한 것은 그동안의 관 사업을 민간에 잘 이양하는 것과 시·군 네트워크를 구축해 현장 밑바닥의 반응을 파악하는 것”이라는 의견도 냈다.
지난 성과에 대한 평가는 분분하지만 본격적인 사업을 펼치는 올해부터는 엄격한 평가 잣대를 들이밀어야 한다는 것이 중론이다.
출범 2년차를 맞는 올해는 중장기 비전과 정책을 세우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전문가들은 재단이 민간기구로서 완전한 독립이 가능한 시기를 3년차부터로 보기 때문에 올해는 이를 위한 기틀을 잡아야 한다고 말한다.
창조적이고 효율적인 정책을 만드는 것도 중요하지만 현장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해 전북에 맞는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 14개 시·군을 아우르는 촘촘한 지역 문화·예술인 네트워크 구축은 필수다.
김동영 전북연구원 연구위원은 “얼마나 현장을 깊게 파악하고 이를 정책에 반영하는 지가 관건”이라면서 “관보다 유연하고 전문적인 게 민간기구의 가장 큰 강점인데, 이 과정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는다면 재단의 존재 의미가 없이 사업만 늘어날 뿐이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재단은 올 여름부터 중기 계획을 수립할 것이라고 밝혔다. 재단 관계자는 “ ‘풀뿌리 문화정책 간담회-문화예술 정책포럼-정책자문위원회’라는 현장에서 전문가 자문까지 이어지는 3단계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면서 “이 구조를 통해 지난 1년간 14개 시·군에서 수렴한 의견들을 의제화해 중기 정책과 사업에 적극적으로 반영하겠다”고 말했다.
올해는 우선 ‘예술인 복지증진’을 문화·예술 목표로 세웠다. 지난해 지역 현장에서 가장 많이 요구됐던 안건이다.
전문 인력과 예산도 뒷받침돼야 한다. 급선무는 4개월째 공석인 사무처장직을 채우는 것. 사무처장은 대표이사와 실무팀과의 연결고리 역할을 하면서 행정·사무·회계 등 업무 전반을 총괄하는 핵심적인 자리다. 또한 언론 등과 대외적으로 접촉하며 관계를 유연하게 맺는 역할도 한다.
이 자리는 외부 전문가 채용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이다. 전북도 파견 공무원의 잦은 교체로 재단이 도 산하기관으로 전락했다는 논란을 빚기도 했고, 점차 파견 공무원을 줄이고 독립성을 높여야 하는 시기를 앞두고 있기 때문이다.
정규 인력도 지난해에 비해 10명 늘어나 29명이지만 여전히 정원 42명에는 못 미쳐 점진적으로 늘려가야 한다. 단기 인력을 채용하면서 올 초에도 계약 기간이 끝난 인력이 빠져나가 업무 과부화를 겪었다.
조직 내부적으로 자율성 강화도 요구된다. 대표이사는 재단의 비전과 방향을 설정하고 실무 팀장들이 이에 맞는 구체적인 사업을 구상하는 체계적 시스템이 정착돼야 한다.
연초 전북도의회 주요 업무계획 보고에서도 홍보팀 신설이 요구될만큼 홍보가 약하다는 지적도 있었다. 올 초 홍보팀장과 팀원 등 2명을 채용한 만큼 적극적인 홈페이지·SNS 운영과 각종 사업 홍보를 통해 인지도를 높이고 정보를 발 빠르게 제공해야 한다.